부자

무역확장법 232조를 알고 대응처라

신오덕 2018. 3. 2. 08:13

철강업계 "최악은 피했지만 대미 수출 큰 타격 불가피"

입력 2018.03.02. 07:53

철강업계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에 따라 수입 철강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대미 수출에 큰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2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모든 제품이 이미 높은 관세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로 25% 관세를 부과한다면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25% 관세는 국내 철강업계가 이미 내는 관세에 추가로 부과된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미 철강재 88%에 관세..미국 의존도 높은 강관업체 직격탄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철강업계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에 따라 수입 철강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대미 수출에 큰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다만 미 상무부가 권고한 3개 수입규제안 중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만 선별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최악은 피했다"는 평가도 나왔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2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모든 제품이 이미 높은 관세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로 25% 관세를 부과한다면 타격이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미국은 우리나라가 수출하는 철강재의 88%에 이미 반덤핑·상계 관세를 부과한 상태다.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25% 관세는 국내 철강업계가 이미 내는 관세에 추가로 부과된다.

추가 관세로 인한 피해는 전체 대미 수출의 절반을 차지하며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강관업체가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원유나 셰일가스 채취에 사용하는 유정용 강관(OCTG)은 우리나라에는 수요가 없고 대부분 미국으로 수출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 기간에 대해 "무제한"이라고 밝힌 만큼 강관업체들은 관세를 피하려면 미국 현지 생산을 선택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유정용 강관이 주력 제품인 중견 철강업체 넥스틸은 이미 미국 휴스턴에 공장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포함한 12개국에만 53%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거론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그나마 다행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정부와 철강업계는 우리나라 등 일부 국가만 겨냥한 선별 관세를 가장 치명적이라고 여기고 있었다.

다만 미국 정부가 관세에 대한 세부 이행 계획을 아직 공개하지 않은 만큼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2017년 대미 철강 수출은 354만2천527t(32억5천964만 달러)으로 최고점인 2014년 571만571t(52억167만 달러)보다 약 38% 감소했다.

트럼프, 美 철강업계 CEO들과 간담회 (워싱턴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가운데)이 1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자국 철강 및 알루미늄업계 최고경영자(CEO)들이 참석한 가운데 가진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내주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수입산 철강에 25%, 수입 알루미늄은 10%의 관세 부과를 내용으로 하는 행정명령에 공식 서명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