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금액을 점검하고 실행한다
직장인 10명 중 7명 "올해 주식 투자 경험 있어"
고은결 입력 2020.10.14. 08:09 댓글 0개
자동요약
우리나라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올해 주식 투자 경험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람인은 직장인 1535명을 대상으로 주식 투자 열풍에 대해 조사한 결과 67.2%가 "올해 주식에 투자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고 14일 밝혔다.
한편, 응답자 10명중 7명(66.4%)은 개인투자자들의 적극적인 주식 매수 상황인 '동학개미 운동'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사람인 조사..응답자 절반이 시작한 지 6개월도 안 돼
투자 이유 1위 '자산 불릴 수 있는 몇 안되는 기회'(46.4%)
[서울=뉴시스] 고은결 기자 = 우리나라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올해 주식 투자 경험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사람인은 직장인 1535명을 대상으로 주식 투자 열풍에 대해 조사한 결과 67.2%가 "올해 주식에 투자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들 중 절반에 가까운 응답자는 주식을 시작한지 6개월이 채 안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보면 6개월 이내(42.3%)가 가장 많았고, 이어 '3년 이상'(26.9%), '1년'(18.3%), '2년'(8.2%) 순이었다. 하반기에 주식 투자 열풍을 주도한 SK바이오팜, 카카오게임즈 등 '공모주 청약'으로 주식을 시작한 직장인도 4.2%였다.
주식에 투자한 금액은 '500만원 미만'(46.2%)이 가장 많았다. 이어 '500만원 이상, 1000만원 미만'(17.2%), '1000만원 이상, 2000만원 미만'(11.5%), '2000만원 이상, 3000만원 미만'(6.2%), '3000만원 이상, 4000만원 미만'(4.9%) 순이었다. 1억원 이상 투자했다는 응답자도 4.5%였다.
주식 투자 이유 1위는 '자산을 불릴 수 있는 몇 안되는 기회인 것 같아서'(46.4%, 복수응답)였다.
'저금리 상황에서 대안투자책으로'(43.3%), '월급만으로는 부족해서'(41.7%), '부동산 등 다른 재테크보다 진입 장벽이 낮아서'(25.3%), '주식시장이 우상향할 것으로 예상돼서'(18.8%), '주변에서 주식으로 돈 벌었다는 얘기를 들어서'(18.7%) 등 이유도 이어졌다.
아울러 주식 투자를 한 직장인의 과반(51%)은 '수익을 냈다'고 답했으며, '원금 보전'(26.4%)과 '손실을 봤다'(22.6%)는 응답의 비율은 비슷했다.
수익을 낸 응답자의 수익률의 경우는 평균 25%로, 기대하는 연간 목표 수익률 평균인 29%보다 다소 낮았다. 손실을 본 이들은 평균 -28%의 손실을 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견딜 수 있는 손실은 원금의 평균 19% 수준이라고 답했다
한편, 응답자 10명중 7명(66.4%)은 개인투자자들의 적극적인 주식 매수 상황인 '동학개미 운동'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절반에 가까운 48.1%는 앞으로도 주식 투자 비중을 높일 것이라 답했다. '지금 수준을 유지'가 42.3%, '투자 비중을 낮춘다'는 9.5%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