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대화와 소통을 통해 자산을 만들어라 본문

성공

대화와 소통을 통해 자산을 만들어라

신오덕 2015. 7. 20. 13:50
[매경데스크] `제2의 유승민` 껴안는 與 돼야
기사입력 2015.07.19 17:36:07 | 최종수정 2015.07.19 20:38:07
보내기

 

"내가 야당과 가장 세게 싸웠던 사람입니다. 대통령 경선 때도 혼자 야당을 공격했습니다. 친박계 의원들은 야당 공격 좀 하라니까 언론 앞에서 시늉만 내고 도망가더라고요. 요즘은 그렇게 싸워보지도 않은 사람들이 (목청만 높이고 있으니)…."

공무원연금 개혁을 놓고 여야가 한창 힘겨운 협상을 벌이던 지난 5월 중순. 유승민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오찬을 하는 자리에서 "여당이 야당에 너무 끌려가는 것 아니냐"는 당내 일각의 지적에 이같이 쏘아붙였다. 공무원연금 개혁안 통과를 위해 밤잠을 설쳐가며 애면글면하고 있는데 그런 노고를 몰라주는 당내 분위기가 섭섭한 듯한 눈치였다. 그때만 해도 유 전 원내대표는 협상 이후 자신에게 불어닥칠 정치적 격랑의 소용돌이를 전혀 눈치채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한 달 뒤 박근혜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유 원내대표를 겨냥해 "배신의 정치는 패권주의와 줄 세우기 정치를 양산하는 것으로 반드시 국민께서 심판해야 한다"며 불신임 카드를 던졌다. 청와대 측 반대에도 불구하고 야당이 요구한 국회법 개정안을 공무원연금 개혁안과 맞바꾼 데 따른 친국(親鞫)이었다. 여기에는 유 전 원내대표가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 `경제민주화`를 외치는 등 박 대통령 주요 정책에 반기를 드는 행보도 한몫했다.

집권여당 원내대표가 국리민복보다 자신의 정치적 존재감을 각인시키기 위해 `독자 정치`에 나선 것은 심각한 문제다. 당을 대표해 나선 국회 교섭단체 연설에서 당·정·청 간 충분한 사전 논의와 조율 없이 정부 정책과 배치되는 개인의 철학과 소신을 당론인 것처럼 설파한 것은 `자기 정치` `배신의 정치`라는 질책을 받아 마땅하다. 대통령과 호흡을 맞춰 국정 개혁을 이끌어야 할 여당 원내사령탑이 공무원연금 개혁과는 전혀 동떨어진 합의안을 내놓고, 그것도 모자라 국회법을 연계해 졸속처리함으로써 국정을 마비시킨 행태 또한 응분의 책임을 지는 게 도리다. 그런 점에서 유 전 원내대표가 늦게나마 사퇴하고, 대통령과 여당 새 지도부 간 회동을 통해 당·청 관계가 대립과 갈등에서 협업과 소통 구도로 바뀐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유 전 원내대표 사퇴 파동을 빌미로 여당이 청와대 예하기관으로 전락해 대통령 발언을 교리처럼 떠받들고 추종해선 곤란하다. 집권 후반기를 맞은 대통령 국정 운영이 자칫 독선과 불통에 빠지지 않도록 끊임없이 민심을 전달하고 진언하는 것이 여당의 책무다. "대통령은 정당의 위계적 통합성을 요구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 때문에 우리 정당은 자율적인 어젠더 설정과 정책 능력 확보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는 손병권 중앙대 교수의 지적을 여당은 귀담아들어야 한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수평적 당·청 관계가 다소 미흡했다. 앞으로 할 말은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 대표는 유 전 원내대표 사퇴 과정에서 나름 당·청 간 중재자 역할을 했지만,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했다"는 평가도 적지 않다. 이런 얘기가 나오지 않으려면 김 대표가 대표직을 걸고서라도 당·청 간에 균형과 중심을 잡는 데 진력을 쏟아야 한다.

또 새누리당이 진화를 거부하는 공룡 여당에 머물지 않도록 시대 흐름에 맞춰 정책과 노선 변화를 꾀하고 당 체질도 개선해 중도층까지 외연을 넓혀야 한다. 미국 정치 컨설턴트인 딕 모리스는 `신군주론`에서 "선거에서 이기려면 상대 정당 텃밭으로 여겨져 온 이슈들에 대해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며 "1996년 클린턴 대통령이 승리한 것도 조세 감면 등 전통적인 공화당 정책을 과감하게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자기 정치가 아닌, 집권 여당 쇄신을 위해, 그리고 우리 정치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제2의 유승민`이 필요한 이유다.

대통령도 좀 더 마음을 열고 여당 의원들과 소통하는 데 나서야 한다.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은 최근 한 강연에서 "대화와 경청을 통해 정치적 자산을 만들어낼 수 있다. 재임기간 내가 속한 공화당과 일하는 게 편했지만 동시에 가장 터놓고 대화했던 사람 중 한 명은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 동생인 에드워드 케네디 민주당 상원의원이었다"고 회고했다. 의견이 다르다고 무조건 배척할 게 아니라 대승적 차원에서 객관적으로 들어보는 리더십이 절실한 때다.

[박정철 정치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