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소비자 신뢰는 이미 크게 실추됐다 본문

부자

소비자 신뢰는 이미 크게 실추됐다

신오덕 2017. 8. 22. 09:30

[사설] 살충제 계란 우왕좌왕한 정부부처, 이제라도 제대로 소통하라

  • 입력 : 2017.08.22 00:01:03

                   

식품 당국은 지난 14일 살충제 계란 문제가 불거진 후 일주일 만인 어제서야 문제의 계란이 인체에 해를 가할 만큼 독성을 함유한 것은 아니라고 발표했다. 1617개 판매업체를 뒤져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계란 451만개를 압류하고 농가로 반품된 243만개를 폐기한 후 뒤늦게 "계란을 많이 먹어도 건강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힌 것이다.

 하지만 정부에 대한 소비자 신뢰는 이미 크게 실추됐다. 어제는 경북의 농장 2곳에서 사용이 금지된 농약 디클로로디페닐트리클로로에탄(DDT)이 검출됐으나 당국이 나흘간 이를 공개하지 않은 사실이 알려졌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가 52곳 중 7곳의 난각 코드를 잘못 발표한 사실도 드러났다.
 



살충제 계란 사태가 벌어지는 동안 정부 각 부처는 줄곧 우왕좌왕했다. 국민들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먹을거리 안전 문제에 대해 정부가 되레 신뢰의 위기를 키운 것이다. 그동안 소비자들은 누구 말을 믿어야 할지 알 수 없어 불안에 떨어야 했고 관련 업계는 엄청난 혼란과 매출 손실을 피할 수 없었다.

각 부처는 소비자들과 제대로 소통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긴밀히 협력해야 할 부처 간에도 소통 부족으로 손발을 맞추지 못했다. 계란 생산단계를 관리하는 농림축산식품부와 유통·소비단계를 관장하는 식품의약품안전처 간의 불통과 엇박자는 참으로 한심한 수준이었다.

농식품부가 농장에서 조사를 벌이고 있는데도 식약처장이 "국내 계란은 안심해도 좋다"고 공언하는가 하면 서로가 하고 있는 일을 잘 몰라 부적합 판정 농가 수에 혼선을 빚기도 했다.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어처구니없는 행태도 보였다. 급기야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관계 기관 간 손발이 맞지 않는 모습이 있었고 발표에도 착오가 있었던 것이 국민 불안을 심화시켰다"며 근본 대책을 주문했다.

2년 전 메르스 사태 때도 보았듯이 여러 부처와 기관이 긴밀히 공조해 대처해야 할 위기가 발생했을 때는 무엇보다 효과적인 컨트롤타워가 작동해야 사태를 조기에 수습할 수 있다. 살충제 계란 사태를 계기로 식품안전에 관한 관리감독 체계도 확실한 컨트롤타워가 가동되는 가운데 부처 간 칸막이를 과감히 허물고 긴밀한 소통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개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