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봄철 황사를 막는 근본 대책을 마련하라 본문

행복

봄철 황사를 막는 근본 대책을 마련하라

신오덕 2018. 3. 30. 09:10

'대기 4敵'.. 가장 독한건 초미세먼지

입력 2018.03.30. 03:02

'미세먼지에 황사까지.'

황사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PM2.5), 스모그 등 대기 질을 악화시키는 현상이 종잡을 수 없이 나타나면서 시민들은 대기가 뿌옇게 변하면 무조건 '미세먼지가 심한 날'로 오해하기 쉽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산업시설이나 자동차 배기가스, 화석연료 등에서 발생하는 인공 오염물질이다.

고등어나 고기를 구울 때도 다량의 초미세먼지가 나온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9일도 잿빛 하늘.. 어떻게 다를까

[동아일보]

‘미세먼지에 황사까지.’


29일 서울, 강원, 전북 등 전국 곳곳의 일부 지역 하늘은 하루 종일 연기가 낀 것처럼 뿌옇게 보였다. 미세먼지에 중국발 황사까지 찾아왔기 때문이다. 전날 중국 베이징에는 올해 첫 황사경보가 발령됐다. 누렇고 뿌연 흙먼지가 대기에 가득 차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였다.

이번 중국 황사는 다행히 우리나라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기상청은 29일 “고비사막과 중국 내몽골 고원에서 발원한 황사가 대부분 중국 북동지방으로 빠져나갔고, 일부가 약하게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황사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PM2.5), 스모그 등 대기 질을 악화시키는 현상이 종잡을 수 없이 나타나면서 시민들은 대기가 뿌옇게 변하면 무조건 ‘미세먼지가 심한 날’로 오해하기 쉽다. 하지만 네 현상의 원인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조금씩 다르다.
        

황사는 중국 내륙에 위치한 내몽골 사막에서 강한 바람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흙먼지를 말한다. 황사 입자는 칼륨과 철분 등 토양성분으로 이뤄져 있다. 입자 크기는 1∼10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이지만 공중에 떠다닐 수 있는 직경 10μm 정도의 입자만 우리나라에서 관측된다. 황사는 결막염을 유발하기 쉽다. 다만 입자가 큰 만큼 코털에서 걸러져 미세먼지보다 호흡기에는 덜 나쁠 수 있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산업시설이나 자동차 배기가스, 화석연료 등에서 발생하는 인공 오염물질이다. 중금속과 유해화학물질이 들어 있어 인체에 해롭다. 고등어나 고기를 구울 때도 다량의 초미세먼지가 나온다. 사람 머리카락 직경의 30분의 1 수준인 초미세먼지는 기도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 깊숙이 침투해 미세먼지보다 더 해롭다.

미세먼지에 오래 노출되면 먼지를 내보내기 위해 기침이 잦아지고, 폐렴 등 감염성 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진다. 특히 초미세먼지가 우리 몸속으로 들어오면 면역세포가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알레르기성 결막염이나 비염, 천식 등이 생기기 쉽다. 노인과 유아, 임산부나 만성 폐질환, 심장질환을 가진 사람은 미세먼지에 더 취약하다.

스모그는 광범위한 대기오염 상태를 말한다. 미세먼지와 기체상에 있는 대기오염물질이 결합해 나타난다. 스모그에 노출되면 눈과 목의 점막이 자극을 받아 따갑게 느껴질 수 있다. 안구건조증과 눈병, 각종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

이세원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최근 역학조사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가 m³당 10μg 증가하면 전체 사망 위험은 4% 증가하고, 심혈관계 사망은 6%, 암으로 인한 사망은 8% 증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