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노년의 빈곤은 영양 불균형이 된다 본문

행복

노년의 빈곤은 영양 불균형이 된다

신오덕 2018. 5. 18. 08:55

65세이상 노인 10명중 1명 고기 일주일에 한번 먹기 힘들어

임재희 입력 2018.05.18. 06:00

우리나라 노인 100명중 10~15명은 일주일에 1회 이상 육류나 생선, 과일을 섭취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철 난방, 미래를 대비한 저축, 연금, 보험 가입률 등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박탈률을 보였다.

10.8%는 과일을 일주일에 한번이상 섭취하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보고서는 "식생활, 의생활과 같은 기초생계에서의 박탈이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서 평균보다 2~3배 높게 나타났다"며 "특히 노년기 빈곤이 영양 불균형의 문제로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보사연 설문조사 결과..난방 등도 상대적 박탈
사회적 지지는 가장 낮아.."사회적 배제 심각"


【세종=뉴시스】임재희 기자 = 우리나라 노인 100명중 10~15명은 일주일에 1회 이상 육류나 생선, 과일을 섭취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철 난방, 미래를 대비한 저축, 연금, 보험 가입률 등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박탈률을 보였다.

1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Ⅳ)'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9세 이상 남녀 3839명을 대상으로 물리적 박탈 정도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조사는 기초생활(식·의생활), 주택 및 주거 환경, 의료 및 건강, 미래 대비 박탈 등 '상대적 박탈'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대표되는 '절대적 박탈' 등 22개 문항에 대해 박탈 유무를 묻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기초생활부문에서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한번 이상 고기나 생선을 사 먹느냐'는 물음에 15.5%가 그렇지 못하다고 답했다. 10.8%는 과일을 일주일에 한번이상 섭취하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전체 평균인 5.9%, 5.2%보다 2~2.6배가량 높은 수치다.

커피나 아이스크림 등 기호식품을 가끔 사먹지 못하는 비율(8.17%), 동절기 의류 2벌 이상 미보유(8.2%), 계절정장 미보유(12.5%) 등의 문항에서도 평균보다 최대 3.6배 정도 박탈률이 컸다.


보고서는 "식생활, 의생활과 같은 기초생계에서의 박탈이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서 평균보다 2~3배 높게 나타났다"며 "특히 노년기 빈곤이 영양 불균형의 문제로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주거환경의 경우 에너지 박탈이 노년층에서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추운 겨울에도 돈이 없어 난방을 하지 못하고 지낸 경험이 있다고 한 노인은 전체의 7.1%로 35세 미만 청년(1.8%)보다 4배 가까이 많았다.

10분내 대중교통에 접근할 수 없는 경우(3.81%), 옥탑방이나 (반)지하 거주(3.4%), 전용 수세식 화장실 및 온수 목욕 시설 미설치(1.67%) 등에서도 다른 연령층보다 박탈 정도가 높았다.


박탈률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온 분야는 미래 대비였다. 노인 응답자 가운데 41.8%가 저축에, 40.4%가 연금에, 35.6%가 사보험에 각각 가입하지 못한 상태였다.

이 같은 박탈률에 보고서는 "만성적으로 높은 빈곤율로 인한 지출 여력의 부재를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50%를 육박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 중 소득 순서대로 세웠을 때 한 가운데에 해당하는 가처분중위소득 50% 미만 가구 비율인 '상대 빈곤율'은 2016년 46.7%였다. 2011년 48.8%에서 2015년 44.7%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높아졌다.

반대로 노인들은 사회적으로 많은 지지를 받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었다.

'사회적 지지를 얼마나 받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평소 마음을 털어놓고 상의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문항에 0~10점까지 점수를 매겨 합산한 점수에 100을 곱해 산출했더니 65세 이상에선 100점 만점에 53.4점이 나왔다. 이는 19~34세 63.7점, 35~64세 58.4점보다 낮은 수치다.

보고서는 "노인의 경우 박탈 수준은 높고 사회적 지지 수준은 낮아 전반적으로 사회적 배제가 심각한 수준임을 짐작하게 한다"고 했다.

한편 공과금 미납이나 전기·전화·수도요금 미납으로 인한 단전·단수 등 경험은 35~64세 장년층이 3.9%와 2.0%로 노년층(3.1%, 1.1%)보다 높았다. 이는 노년층이 만성적인 소득 빈곤을 경험하며 소비 수준을 소득수준에 맞춰 최대한 억제하는 반면 장년층은 자녀 양육, 주거비 지불 등 필수적인 지출이 높은 시기여서 가계 적자가 절대적 박탈을 부른 것이라고 보고서는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