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미국 정책금리를 알고 대응한다 본문

부자

미국 정책금리를 알고 대응한다

신오덕 2018. 9. 27. 09:59

이주열 한은 총재 "미 금리인상 예견된 결과..국내시장에 큰 영향 없을 것"

안광호 기자 입력 2018.09.27. 09:40

 

[경향신문]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7일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은 예견된 결과”라며 “국내 금융시장이 큰 영향을 받진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기준금리를 2.0~2.25%로 0.25%포인트 인상한 결과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7일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은행 본부에 출근하며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에 관한 견해를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 연준이 이날 정책금리를 인상하면서 한·미 금리 차이는 최대 0.75%포인트까지 벌어졌다. 한은은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이후 1.50%를 유지하고 있다.


이 총재는 금리 차 확대에 대한 부담 때문에 한은도 연내에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 “금리 정책은 거시경제, 금융 불균형 축적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줄여나가는 것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 금리인상 결과, 미중 무역분쟁 등을 봐가면서 고민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 연준은 오는 12월에 또다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크다. 한은이 다음달과 11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하면 양국 금리차는 역대 최대치인 1%포인트로 확대된다.


이 총재는 “100bp라고 (부담스럽다고) 딱 꼬집어 말할 수 없다”면서도 “내외 금리 차에 좀 더 경계심 갖고 자금 흐름 추이를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그간 국내) 금융 완화 정도를 조정하지 못한 것은 대내외 변수가 받쳐주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했고 물가와 고용이 좀 미흡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금리 결정이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해서 신중히 대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