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한국인의 저력
- 상선약수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행복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인재난
- 성공의 선택
- 직업
- P세대
- 부자
- 성난 황소의 돌진
- 성공의 길
- 새로운 도전
- 신오복
- 부자의 인생
- 성공
- 돈과 여자
- 온고지신
- 아름다운 꽃
- 10년 경험
- 부자의 길
- 성공의 지혜
- 신삼강오륜
- 경제의 힘
- 부자의 삶
- 새로운 삶
- 부자의 세계
- 부자의 땅
- 아름다운 세상
- 부자의 약속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미국 정책금리를 알고 대응한다 본문
이주열 한은 총재 "미 금리인상 예견된 결과..국내시장에 큰 영향 없을 것"
안광호 기자 입력 2018.09.27. 09:40
[경향신문]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7일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은 예견된 결과”라며 “국내 금융시장이 큰 영향을 받진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기준금리를 2.0~2.25%로 0.25%포인트 인상한 결과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미 연준이 이날 정책금리를 인상하면서 한·미 금리 차이는 최대 0.75%포인트까지 벌어졌다. 한은은 지난해 1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이후 1.50%를 유지하고 있다.
이 총재는 금리 차 확대에 대한 부담 때문에 한은도 연내에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 “금리 정책은 거시경제, 금융 불균형 축적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줄여나가는 것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 금리인상 결과, 미중 무역분쟁 등을 봐가면서 고민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 연준은 오는 12월에 또다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크다. 한은이 다음달과 11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하면 양국 금리차는 역대 최대치인 1%포인트로 확대된다.
이 총재는 “100bp라고 (부담스럽다고) 딱 꼬집어 말할 수 없다”면서도 “내외 금리 차에 좀 더 경계심 갖고 자금 흐름 추이를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그간 국내) 금융 완화 정도를 조정하지 못한 것은 대내외 변수가 받쳐주지 못했기 때문”이라며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했고 물가와 고용이 좀 미흡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금리 결정이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해서 신중히 대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형 생활임금 적용자를 알고 확인한다 (0) | 2018.10.01 |
---|---|
금융투자협회 자료를 살피고 나아간다 (0) | 2018.09.28 |
하반기 리스크 요인을 살핀다 (0) | 2018.09.21 |
철강업계의 노력을 알고 확인한다 (0) | 2018.09.20 |
산업통상자원부 자료를 확인한다 (0) | 2018.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