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행복
- 경제의 힘
- 성공의 지혜
- 성공의 선택
- 성난 황소의 돌진
- 10년 경험
- 부자
- 부자의 인생
- 부자의 길
- 인재난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P세대
- 성공
- 부자의 약속
- 온고지신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부자의 땅
- 직업
- 상선약수
- 아름다운 세상
- 신오복
- 아름다운 꽃
- 신삼강오륜
- 돈과 여자
- 한국인의 저력
- 성공의 길
- 새로운 삶
- 부자의 삶
- 부자의 세계
- 새로운 도전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현미밥이 건강에 좋다 본문
여름철, 지친 속을 편하게 해주는 음식 5
이용재 입력 2019.08.12. 13:44
"입맛도 없고, 소화도 안 된다" 무더위로 식욕을 잃은 데다 속까지 더부룩하다.
미국 '위민스 헬스'가 소화가 잘돼 속이 편하면서도 영양도 풍부한 음식을 소개했다.
◆ 달걀 = 속이 더부룩하다고 식물성 식사만 할 순 없는 노릇이다.
찌거나 구운 뒤 껍질은 벗겨내고 속살만 먹는 게 좋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입맛도 없고, 소화도 안 된다" 무더위로 식욕을 잃은 데다 속까지 더부룩하다. 삼계탕 같은 보양식도 좋지만, 자주 먹기엔 부담스럽다. 미국 '위민스 헬스'가 소화가 잘돼 속이 편하면서도 영양도 풍부한 음식을 소개했다.
◆ 백미 밥 = 일반적으론 섬유질이 풍부한 현미나 잡곡밥이 건강에 좋다. 그러나 여름철 장염과 설사로 지친 소화기관에는 백미 밥이 낫다. 이런 경우엔 빵도 통곡물로 만든 것보다 흰 빵이 좋다. 소화가 더 잘 되기 때문이다.
◆ 수박 = 설사로 탈수 증상이 나타났을 때 수분 보충에 좋다. 상대적으로 섬유질도 거의 없어 허약해진 장을 자극하지 않는다. 껍질을 두껍게 벗긴 오이나 참외도 비슷한 효과를 낸다. 다만 씨는 골라내고 먹는 게 좋다. 소화가 잘 안 되기 때문이다.
◆ 달걀 = 속이 더부룩하다고 식물성 식사만 할 순 없는 노릇이다. 단백질은 허약해진 몸을 회복하는 데 필수적이다. 쇠고기나 돼지고기 등 지방이 많은 육류보다는 계란이 좋다. 삶는 게 가장 좋은 요리법이다. 프라이나 스크램블 에그도 나쁘지 않지만 조리할 때 가급적 기름을 적게 쓰는 게 좋다.
◆ 고구마 = 칼륨이 풍부하다. 찌거나 구운 뒤 껍질은 벗겨내고 속살만 먹는 게 좋다. 껍질에 풍부한 섬유질은 컨디션이 좋을 땐 도움이 되겠지만 무더위에 지친 소화기에는 부담을 준다.
◆ 바나나 = 잘 익은 바나나는 소화가 잘되고, 설사를 막아준다. 다만, 충분히 익은 걸 먹어야 한다. 아직 푸른 기운이 남아있는 너무 싱싱한 바나나는 소화가 어려운 전분이 많다. 충분히 후숙하면 이 전분은 별다른 소화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즉시 흡수할 수 있는 당분으로 변한다.
'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력과 건강을 살핀다 (0) | 2019.08.16 |
---|---|
스트레칭을 해야 하는 이유는 있다 (0) | 2019.08.14 |
20분 넘게 잠이 안오면 기상한다 (0) | 2019.08.12 |
간 기능이 떨어지면 피로감을 느낀다 (0) | 2019.08.09 |
취침 2시간 전에 마무리해야 한다 (0) | 2019.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