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한국인의 저력
- 부자의 길
- 성공의 지혜
- 부자의 세계
- 신오복
- 부자의 인생
- 새로운 삶
- 성공
- 10년 경험
- P세대
- 직업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성난 황소의 돌진
- 부자
- 경제의 힘
- 아름다운 꽃
- 상선약수
- 성공의 선택
- 온고지신
- 돈과 여자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새로운 도전
- 인재난
- 부자의 약속
- 성공의 길
- 행복
- 부자의 땅
- 부자의 삶
- 아름다운 세상
- 신삼강오륜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경영 원칙이 지속되는 것을 보고 생각한다 본문
'삼성 50년 무노조 경영' 깨진다..그 평가와 의미는?
김도균 기자 입력 2019.11.12. 22:57 수정 2019.11.13. 00:39
<앵커>
삼성그룹은 이병철 선대 회장 이후 이건희, 이재용 이렇게 3대를 거치면서 무노조 경영 원칙을 계속 유지해왔습니다.
한 회사 안에 노조를 여러 개 만드는 게 허용된 지난 2011년 이후 삼성에버랜드와 삼성전자 A/S 협력사에서 노조를 만들기도 했지만 그룹 차원에서 노조 활동을 방해하려 한 혐의가 검찰 수사로 드러나기도 했었습니다.
또 지난해 삼성전자에서 3개 노조가 설립 인가를 받기도 했었는데 그 구성원이 모두 합쳐서 수십 명에 불과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설립될 삼성전자의 네 번째 노조가 사실상 삼성전자의 첫 노조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 의미를 김도균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고도 성장기를 지나며 노동자의 권리가 중시되면서 삼성의 '무노조 경영'은 거센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김성환/삼성일반노조위원장 (2008년 1월) : 무노조 경영이라는 반사회적 범죄행위와 노동자들의 비인간적인 작업환경…]
이때마다 다른 기업보다 좋은 근로조건과 복지를 강조하며 무노조 원칙을 고수하려 했던 삼성이지만 최근 노조 활동을 방해한 불법행위들이 검찰 조사에서 드러나며 더 이상의 명분을 잃었다는 평가입니다.
삼성전자 측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내부에서는 양대 노총에 가입한 첫 노조라는 점에서 어느 때보다 파장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 노사관계와 경영에 큰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겁니다.
[박상인/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 앞으로 한노총 산하 노조로서 조합원 숫자도 상당히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이 돼서 실질적인 의미에서 삼성전자의 첫 번째 노조다 이렇게 볼 수가 있겠죠.]
경영계에서는 노조 규모가 확대되면 삼성의 경영에 불확실성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지만 새로운 노사관계를 통해 글로벌 기업에 걸맞은 위상을 회복할 기회라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영상편집 : 이승진)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업이익을 보고 생각한다 (0) | 2019.11.15 |
---|---|
절반 처음 돌파를 보고 생각한다 (0) | 2019.11.14 |
구제방안을 보고 생각한다 (0) | 2019.11.08 |
부동산 시장 발표 내용을 보고 생각한다 (0) | 2019.11.07 |
항공 물류산업을 보고 생각한다 (0) | 2019.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