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세대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부자의 길
- 아름다운 세상
- 성공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부자의 삶
- 새로운 도전
- 성난 황소의 돌진
- 부자의 인생
- 성공의 지혜
- 경제의 힘
- 10년 경험
- 성공의 선택
- 성공의 길
- 인재난
- 상선약수
- 부자의 땅
- 신삼강오륜
- 새로운 삶
- 한국인의 저력
- 아름다운 꽃
- 부자의 세계
- 행복
- 부자
- 온고지신
- 부자의 약속
- 직업
- 돈과 여자
- 신오복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카페인 일일 섭취 권량을 알고 확인한다 본문
커피 하루만 안마셔도 두통-피로.. 나도 카페인 중독?
위은지 기자 입력 2020.01.16. 03:02
추운 날씨에 몸을 녹이는 따끈한 커피 한 잔이 간절한 계절이다.
이제 커피는 단순한 개인 기호의 차원을 넘어 소통의 문화가 된 지 오래다.
사실 커피 한 잔은 일상에 여유를 줄 뿐 아니라 일시적으로 각성 효과를 가져와 학업이나 직장 생활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습관처럼 커피를 즐기다 보면 카페인에 중독돼 건강에 적지 않은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권고하는 성인의 카페인 일일 섭취 기준량은 최대 400mg. 2018년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국내 주요 커피전문점에서 파는 아메리카노 한 잔(평균 303mL)에 들어 있는 카페인은 평균 136mg인 것으로 조사됐다.
아침, 점심, 저녁으로 아메리카노를 한 잔씩만 마셔도 카페인 일일 섭취 권고량을 넘기기 쉽다.
카페인은 중추신경을 자극해 기분을 좋게 만들어준다.
또 졸음을 일으키는 아데노신의 작용을 억제하고, 신경을 자극해 일시적으로 암기력도 높여준다. 그러나 하루에 카페인을 500mg 이상 과다 섭취하게 되면 이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심장박동이나 맥박이 증가하고 혈압이 높아지며 불안, 초조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부작용이 대표적이다. 권길영 노원을지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소화불량과 같은 소화기 장애나 빈뇨 증상, 이명, 손발 저림과 같은 다른 증상들도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지속적인 카페인 섭취는 의학적으로 ‘카페인 중독’에까지 이를 수 있다.
미국 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진단통계편람(DSM)에 따르면 육체적, 정신적 질환이 없고 하루 카페인 섭취량이 250mg 이상인 사람이 다음 12가지 증상 중 5개 이상에 해당하면 카페인 중독이 의심된다.
기준은 △안절부절못함 △신경과민 △흥분 △불면 △안면 홍조 △소변이 자주 마려움 △소화불량 등 소화기 장애 △두서없는 사고와 언어 △근육 경련 △주의 산만 △지치지 않음 △맥박이 빨라지거나 불규칙함 등이다.
카페인 금단현상은 카페인을 섭취하지 않은 지 12∼24시간이 지나면 발생한다. 카페인을 하루 500mg 이상 섭취한 사람이 커피를 마시지 않으면 금단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드물지만 평일 하루 1∼2잔을 꾸준히 마신 사람도 이와 같은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 카페인 금단현상은 두통이 가장 흔하며 피로, 산만함, 구역질, 근육통, 우울감 등의 증상이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성인뿐만 아니라 어린이나 청소년들도 카페인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탄산음료나 초콜릿 등에 카페인이 다량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커피우유(200mL)에는 카페인 약 47mg, 캔 콜라(250mL)에는 카페인 23mg, 초콜릿 한 개(30g)에는 카페인이 16mg 들어 있다. 어린이나 청소년의 하루 카페인 섭취 권고량은 체중 1kg당 2.5mg 이하다. 즉 체중이 10kg인 아이의 경우 카페인을 25mg 이하로 섭취하는 게 좋다.
권 교수는 “어른보다 신진대사 능력이 떨어지는 아이들은 몸 안에 카페인이 더 오래 남기 때문에 두통이나 불안, 신경과민의 부작용에 취약하다”며 “카페인 성분 자체가 성장을 억제하지는 않지만 다른 음식에 함유된 칼슘이나 철분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렇다면 새해 카페인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해 당장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전문가들은 카페인 섭취를 갑자기 중단하는 것보다 1∼2주에 걸쳐 서서히 섭취량을 줄여 나가는 게 좋다고 말한다.
커피를 줄이는 과정에서 디카페인 음료를 함께 마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내려 마시는 커피는 가능한 한 짧은 시간 안에 내리고, 티백도 짧게 우려내는 것이 좋다. 평소 식품을 구입할 때 카페인 함량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도움이 된다.
'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찾는다 (0) | 2020.01.21 |
---|---|
곤드레밥이 있는 곳을 찾는다 (0) | 2020.01.17 |
음주후 하루는 운동을 쉬어야 한다 (0) | 2020.01.15 |
한국인에게 부족한 영양소를 알고 확인한다 (0) | 2020.01.14 |
주말에 짬을 내어 여행하기 좋다 (0) | 2020.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