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고령자 통계를 보고 적극 대응해야 한다 본문

부자

고령자 통계를 보고 적극 대응해야 한다

신오덕 2021. 9. 30. 08:32

노후대책 마땅찮은데..30여년 후 절반이 고령자가구

이명철 입력 2021. 09. 30. 07:21 댓글 0

 

 

통계청 2021 고령자 통계, 고령인구 853만여명


고령자가구 23.7% 차지..2047년 49.6%까지 늘어


"노후 준비" 절반도 못 미쳐..부양 부담 급증 우려

 

[세종=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우리나라 국민 5명 중 1명은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이 머지않았다.

 

2047년에는 전체의 약 절반이 고령자가구가 된다.

 

고령자 사이에서도 양극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노후 준비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고령자 1인가구는 2047년 400만명을 돌파하게 된다.

 

빠른 고령화 속도로 재정의 부양 부담이 커지는 만큼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고령자 1인가구 3명 중 2명 “노후 준비 없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1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853만 7000명으로 전체 16.5%를 차지했다.

 

고령인구 비중은 2025년(20.3%) 20%를 넘기면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되고 2036년 30.5%, 2060년 43.9%로 지속 증가할 전망이다.

지난 16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앞 무료급식소에 어르신들이 점심식사를 위해 줄 서 있다. (사진=연합뉴스)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488만 가구로 전체 23.7%를 차지하고 있다.

 

2047년에는 전체의 약 절반인 49.6%가 고령자 가구가 될 것으로 통계청은 추정했다.

 

고령자 가구 중 1인가구는 166만 1000가구로 35.1%를 차지했다.

 

고령자 1인가구의 비중은 2015년 32.9%에서 지속 증가세다. 2037년에는 현재 2배 수준인 335만 1000가구, 2047년에는 405만 1000가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30여년이 지나면 혼자 사는 고령자가 400만명이 넘어가는 셈이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만 노후 준비는 미흡한 편이다.

 

노후 준비를 하고 있는 고령자는 전체에서 48.6%로 절반에 못 미쳤다.

 

1인가구의 경우 33.0%만이 노후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혼자 살고 있는 고령자 3명 중 2명은 별다른 노후 대책 없이 생활하고 있는 것이다.

 

노후 준비 방법도 전국민이 보편적으로 가입하는 국민연금이 31.1%로 가장 많았다.

 

국민연금 자체로 사실상 생활하기에 충분치 않은 만큼 추가 생활비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1인가구는 국민연금 비중이 36.0%다.

 

안정적 생활을 위해서는 일자리가 필수다.

 

55~79세 고령자 중 장래 일하기를 원하는 비중은 68.1%로 전년대비 0.7%포인트 증가했다.

 

근로 희망 사유는 ‘생활비 보탬’이 58.7%로 가장 많았다.

고령인구(65세 이상) 및 구성비. (이미지=통계청)

 

현실은 녹록치 않다. 65세 이상 고령자 고용률은 34.1%로 전년대비 1.2%포인트 상승했지만 15세 이상 전체 고용률(60.1%)과 비교하면 절반 정도 수준이다.

 

산업별 취업자 비중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가 43.2%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양질의 민간 일자리보다는 재정을 투입한 공공일자리의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생활비를 스스로 마련한다는 고령자는 2019년 기준 61.2%고 1인가구는 44.6%에 그쳤다.

 

정부·사회단체 지원이 31.1%, 자녀·친척 지원은 24.3%로 전체와 비교해 각각 15.3%포인트, 1.3%포인트 높아 외부 지원에 대한 의존도가 더 높았다.

 

“고령자 대상 적극적인 고용 대책 마련해야”

 

소득 분배지표는 개선세다.

 

2019년 66세 이상 은퇴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은 43.2%로 전년대비 0.2%포인트 낮아졌다.

 

대표 소득분배지표인 지니계수(0일수록 완전 평등에 가까움)는 같은기간 0.406배에서 0.389배로 감소했다.

 

소득 상위 20% 계층 평균소득을 소득 하위 20% 계층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5분위 배율은 같은기간 7.94배에서 7.21배로 내렸다.

 

다만 2018년 기준으로 상대적 빈곤율은 43.4%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캐나다(11.9%), 영국(14.9%) 등은 물론 일본(20.0%)과 비교해도 두배 이상 높다.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이미지=통계청)

 

경제활동 능력이 낮은 고령자들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우리 경제의 생산성 저하는 물론 생산연령인구의 부양 부담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고령인구를 뜻하는 노년부양비는 올해 23.0명에서 2036년 51명, 2060년 91.4명까지 높아진다.

 

40년 후에는 돈을 버는 15~64세 10명이 노인 9명의 생활비를 부담해야 한다는 의미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생산인구가 빠르게 줄면서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여가 필요하지만 현재 고령화 대책은 재정 지원 등 복지 성격이 강하다”며

 

“정보통신(IT)에 대한 고령자의 접근성을 높여 새로운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