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새로운 도전
- 성공의 지혜
- 10년 경험
- 부자의 약속
- 성공의 길
- 경제의 힘
- 부자
- 직업
- 부자의 인생
- 돈과 여자
- 신삼강오륜
- 성공
- P세대
- 행복
- 성난 황소의 돌진
- 한국인의 저력
- 부자의 세계
- 부자의 길
- 신오복
- 온고지신
- 새로운 삶
- 성공의 선택
- 아름다운 꽃
- 부자의 땅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아름다운 세상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상선약수
- 인재난
- 부자의 삶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몸의 한계를 모르고 작업에 열중한다 본문
"山은 인생..어려움 겪지않으면 봄이 안온다"
입력 2021. 12. 20. 11:26 댓글 0개
기사 도구 모음
여든이 넘은 나이에도 신현국(83) 화백은 매일 아침 여섯 시에 일어나 작업장으로 향한다.
저녁식사를 하는 다섯 시까지 꼬박 그림을 그리고, 밤 사이엔 오늘 그린 그림을 머릿속으로 연구하고 고민한다.
그는 "젊은 시절의 그림은 회색빛의 어두운 색조가 많았는데, 계룡산에 와서 그린 그림은 눈에 띄게 밝아졌다"고 했다.
신 화백은 자신의 삶을 "언제고 그림과 함께하는 시간"이라며 "지금도 그림을 그릴 때만큼은 몸의 한계를 모른다"고 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 남성
- 여성
- 느림
- 보통
- 빠름
- 매우 작은 폰트
- 작은 폰트
- 보통 폰트
- 큰 폰트
- 매우 큰 폰트
40년前 계룡산 터잡고 화폭옮겨
대학생때 스승 김환기·남관 영향
비구상·구상 경계 허문 작품활동


“언제나 봄을 기다리는 마음이 되어... 봄처럼 영원히 청춘으로 살아가기를 소원한다.”(신현국, ‘봄의 소리’ 중)
여든이 넘은 나이에도 신현국(83) 화백은 매일 아침 여섯 시에 일어나 작업장으로 향한다.
저녁식사를 하는 다섯 시까지 꼬박 그림을 그리고, 밤 사이엔 오늘 그린 그림을 머릿속으로 연구하고 고민한다.
“자기 전까지 그림에 대해 고민하다 보면 아침에 일어나 즉시 휘두르고 싶어진다”고 한다.
신 화백의 인생과 작품에서 산은 중요한 키워드다. 40년 전 계룡산에 터를 잡은 이후 그는 삶의 절반 이상을 계룡산을 그리는데 몰두하고 있다.
홍대 회화과를 다니던 대학 시절엔 스승인 김환기, 남관의 영향을 깊게 받으며 비구상에 젖었다.
이후 시간은 자연스럽게 그를 구상화의 세계로, 산으로 이끌었다. “젊을 때엔 구상의 매력을 잘 몰랐어요.
그런데 산에서 만난 구상의 세계엔 작가의 철학이 들어있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그 철학이 살아있는 모든 것들과 교감하더라고요.”
신 화백에게 산은 “살아있는 스승”이고, 자연은 “사유의 대상”이다.
그는 산에게서 인생의 진리를, 그림 그리는 사람의 자세와 정진 방법을 배웠다.
“산을 우리 인생과 닮았어요. 어려움을 겪지 않으면 봄이 오지 않는다는 걸 산을 통해 알게 됐습니다.”
고난을 딛고 선 삶은 생명력이 가득 찼다. 산에서 발견한 아름다움은 고스란히 화폭으로 옮겨진다.
그는 “젊은 시절의 그림은 회색빛의 어두운 색조가 많았는데, 계룡산에 와서 그린 그림은 눈에 띄게 밝아졌다”고 했다.
“계룡산에서 그린 그림이 저를 가장 활발하게 했던 세계이기도 해요.”
산의 생동하는 아름다움은 창의적인 회화적 언어로 이어졌다.
눈에 보이는 형상을 담으면서도 그의 산은 구상과 비구상의 경계를 허문다.
“어머니의 모습을 그리는 것이 구상이라면 어머니의 마음을 그리는 것이 비구상이에요.
화가의 마음은 시인과 같아요.
마음속 절절함이 그림으로 묻어나야 하죠. 거기에서 출발해야 좋은 그림이 나와요.”
산을 바라보며 느낀 깊은 감정과 울림, 무게감이 화폭에 담겨 때론 담대하게, 때론 담백하게 표현된다.
비구상의 압축미를 보여주듯 두꺼운 붓질로 생생하게 가로지르고, 화가들이 기피하는 색인 보랏빛을 통해 색의 혁명을 완성했다. “산이 보여주는 아름다운 자연의 겉모습과 색에만 취해선 안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열 살 무렵 그림을 배우기 시작해 일생을 그림과 함께 했다.
신 화백은 자신의 삶을 “언제고 그림과 함께하는 시간”이라며 “지금도 그림을 그릴 때만큼은 몸의 한계를 모른다”고 했다.
지난 5월 ‘산의 울림 : 신현국 전’을 연 신 화백은 내년쯤 새로운 전시를 계획하고 있다.
계절로 치면 봄, 가을은 스케치를 하고, 여름, 겨울은 긴 작업에 몰두하는 그는 올 겨울 완성된 작품으로 새로운 작업 세계를 보여주겠다는 계획이다.
'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리신 성분을 알고 식품을 섭취한다 (0) | 2021.12.22 |
---|---|
골든 타임을 지켜야 하는 이유는 있다 (0) | 2021.12.21 |
국제무대 데뷔 35돌을 맞은 소프라노 인물의 전국공연을 지켜본다 (0) | 2021.12.17 |
자신을 존종하는 마음을 가져야 행복하다 (0) | 2021.12.16 |
행복호르몬의 변화를 알고 대처한다 (0) | 2021.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