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재난
- 아름다운 세상
- 부자의 삶
- 경제의 힘
- 신삼강오륜
- 새로운 삶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성공의 선택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한국인의 저력
- 부자의 약속
- 10년 경험
- 온고지신
- 상선약수
- 새로운 도전
- 성공
- 돈과 여자
- 성공의 지혜
- 부자
- 성난 황소의 돌진
- 부자의 땅
- 신오복
- 아름다운 꽃
- 부자의 길
- 부자의 인생
- 부자의 세계
- P세대
- 성공의 길
- 행복
- 직업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국가 순자산이 2경원(조단위 다음단계)으로 가고 있다 본문
우리나라 국부 2경원 '육박'..부동산·주식 가치 급등 영향
김민영 입력 2022. 07. 21. 14:13 수정 2022. 07. 21. 14:30 댓글 0개
기사 도구 모음
지난해 경제주체들이 보유한 전체 순자산 이른바 국부(國富)가 2경원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대비 토지, 건설자산 등 부동산 가치가 급등해 나타난 결과다.
이병창 한은 경제통계국 국민B/S팀장은 "지난해 순자산 증가 이유는 3가지로 건설자산, 토지자산, 순금융자산 중심으로 전체 국부 증가를 이끌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경제주체들이 보유한 전체 순자산 이른바 국부(國富)가 2경원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대비 토지, 건설자산 등 부동산 가치가 급등해 나타난 결과다.
한은과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21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 및 비영리단체, 금융·비금융법인, 일반정부의 순자산을 모두 합한 국민순자산(국부)은 지난해 말 1경9809조원에 달했다.
1년 전(2020년 말)보다 11.4%(2030조원) 늘었다. 199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고, 증가폭 역시 2007년(13.3%) 이후 최고 기록이다. 국부는 통상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해마다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이 국부는 명목 국내총생산(2072조원)의 9.6배로 배수가 전년(9.2배)보다 높아졌다.
국부 증감 요인을 보면 비금융자산은 1경9027조원으로 전년 대비 1778조원(10.3%) 증가했다. 비금융자산 중 부동산(토지+건물)은 88.7%를 차지했다. 1년 전 77.0%에서 11.7%포인트(P)나 급증했다.
금융자산(2경1073조원)에서 금융부채(2경291조원)를 뺀 순금융자산은 782조원으로 전년 대비 252조원(47.5%) 증가했다. 금융자산은 지분증권과 투자펀드(645조원), 현금 및 예금(434조원)을 중심으로 1889조원(9.8%) 증가했다.
지난해 국부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거래요인에 의한 증가(317조원) 보다는 자산가격 변동 등 거래 외 요인에 의한 결과(1713조원)다. 비금융자산 명목보유손익이 960조원에서 1372조원으로, 금융자산 거래 외 증감이 마이너스(-)157조원에서 164조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이는 건물과 토지자산 등 부동산 가치가 가파르게 올랐고, 보유 주식 가치도 크게 상승했다는 뜻이다.
이병창 한은 경제통계국 국민B/S팀장은 “지난해 순자산 증가 이유는 3가지로 건설자산, 토지자산, 순금융자산 중심으로 전체 국부 증가를 이끌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가구당 순자산은 5억4476만원으로 추정됐다. 2020년 말(5억451만원) 보다 8.0% 증가했다. 가구당 순자산 추정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 전체 순자산을 추계 가구 수로 나눈 값이다.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은 전년보다 10.8%(1132조9000억원) 늘어난 1경1592조원을 기록했다. 순자산 구성 비중을 보면 △주택 6098조원(52.6%) △주택 이외 부동산 2626조원(22.7%) △현금·예금 2139조원(18.5%) △보험 등 1498조원(12.9%) △지분증권·투자펀드 1134조원(9.8%) 등 순이었다.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상경영 체제로 돌아간 기업을 알고 배운다 (0) | 2022.07.25 |
---|---|
당기 순이익을 분석하고 하반기를 준비한다 (0) | 2022.07.22 |
기업 매출과 인건비 부분을 종합 분석하고 대응한다 (0) | 2022.07.20 |
메모리 반도체 수요 예측과 투자 여부는 결정된다 (0) | 2022.07.19 |
정부의 창업 지원 금액을 알고 움직인다 (0) | 2022.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