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상선약수
- 부자의 약속
- 성공의 선택
- 부자의 인생
- 돈과 여자
- 인재난
- 부자의 세계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한국인의 저력
- 경제의 힘
- 부자의 삶
- 행복
- 아름다운 세상
- 신삼강오륜
- 성공의 길
- P세대
- 부자의 길
- 부자
- 새로운 도전
- 성난 황소의 돌진
- 성공
- 아름다운 꽃
- 직업
- 신오복
- 새로운 삶
- 성공의 지혜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부자의 땅
- 10년 경험
- 온고지신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웰빙과 웰다잉의 지혜를 배워라 본문
[이덕일사랑] 웰빙과 웰다잉
|
가장 흔한 것이 땅에 묻는 토장(土葬)이지만
문무왕의 수중릉처럼 수장(水葬)도 있고, 화장
(火葬)도 흔하다.
특이한 장례풍습도 많은데 시체를 한데 두어
비바람에 풍화시키는 풍장(風葬), 새들의 먹이
로 만드는 천장(天葬), 친지들이 시신을 나눠
먹는 인복장(人腹葬) 등은 유체(遺體)와 명당
(明堂)을 중히 여기는 우리의 관념으로는 이해
할 수 없는 장례풍습들이다.
애장(崖葬)은 시신을 절벽 끝에 놓아두는 것인
데, 그 일종이 현관장(懸棺葬)이다.
관(棺)을 수면에서 높이 떨어진 절벽 위에 얹
어놓는 현관장은 중국 동남연해와 장강(長江)
유역 및 그 이남 지역에서 몇 천 년 전부터 행
해졌다.
특히 사천성(四川省)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
으며, 동남아와 태평양 도서국가들에도 존재
한다.
장례풍습은 이처럼 다양하지만 크게 봐서 산
자의 사생관은 둘이다.
한 유형은 진시황이다.
‘사기(史記)’에 따르면 진시황은 제나라 사람
서시(徐市·서복[徐福]이라고도 한다) 등의 상
서(上書)에 따라 바다 가운데 신선(神仙)을 찾
으러 수천 명의 동남동녀(童男童女)를 보냈다.
원래의 목적은 불로초(不老草)를 찾기 위한 것
인데 우리나라까지 왔다는 전설이 전한다.
이는 현세의 권력으로 불사(不死)하려는 몸부
림이다.
무위(無爲)의 철학인 노장(老莊)에서 이런 불
로장생(不老長生) 관념이 가장 유행한 것은 아
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이와 다른 유형은 공자이다.
‘논어(論語)’이인(里仁) 편에 나오는 “아침에
도를 듣고 깨달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朝聞
道夕死可矣)는 것이다.
가장 현실적인 유학이 가장 현실 초월적인 사
생관을 갖고 있으니 이 또한
아이러니다.
최근 웰빙에 이어 웰다잉이 자주 거론된다.
도를 깨달으면 생사는 하나라는 것이 공자뿐
만 아니라 모든 성인(聖人)과 많은 현인(賢人)
들의 생각이다.
'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TV동화 행복한 세상中 사랑합니다..감독님 (0) | 2006.07.06 |
---|---|
[스크랩] 요절복통 사고 비디오 (0) | 2006.07.01 |
[스크랩] 그여자,그남자 이야기 (0) | 2006.06.28 |
[스크랩] 3. 많은 결혼식에 가서 춤을 추면 많은 장례식에 가서 울게 된다 (0) | 2006.06.28 |
[스크랩] 2. 사랑 없이 여행하지 말라 (0) | 2006.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