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평창동계올림픽 소요 비용을 먼저 산출하라 본문

부자

평창동계올림픽 소요 비용을 먼저 산출하라

신오덕 2014. 12. 11. 13:33

[사설] 평창동계올림픽 국내 분산개최가 정답이다
기사입력 2014.12.11 00:01:01
보내기

2018 평창동계올림픽 분산 개최 여부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어제 기자회견을 열어 “분산개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반면 강원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는 성명을 내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내놓은 분산개최 제안을 원칙적으로 찬성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평창동계올림픽이 현재 아무런 재정 대책도 없이 벼랑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고 지적했는데 백번 옳은 말이다.

평창동계올림픽을 일본 나가노를 비롯한 해외경기장에서 분산 개최하자는 제안이 나오게 된 것은 재정 부족 탓이다. 정부는 지난 10월 강릉종합운동장을 리모델링해 개·폐회식을 치르자고 제안했지만 강원도와 평창올림픽조직위가 1300억원을 들여 개·폐회식장을 새로 짓기로 했다. 이 건설비용을 놓고 정부는 “30%만 지원하겠다”고 하고 강원도는 “75%를 내놓으라”고 맞섰다. 그러다가 강원도가 “정부 지원을 늘려주지 않으면 개최권을 반납할 수 있다”고 협박하는 사태에 이르자 IOC가 분산 개최 제안을 들고 나온 것이다. 강원도 재정자립도는 21.6%에 불과하다. 그런데 경기장 6개 신설 등에 사업비로 약 7000억원을 투입해야 하고 그중 75%는 정부, 25%는 강원도가 부담하게 돼 있다. 이런 상태에서 사후 활용 계획도 불투명한 개·폐회식장을 단 6시간 행사를 위해 새로 짓자는데 과연 얼마나 많은 국민이 동의하겠는가.

올해 2월 열린 소치동계올림픽뿐 아니라 나가노, 토리노 등 역대 동계올림픽이 엄청난 적자를 낸 후 유지비로 매년 수백억원을 쓰면서 빚에 신음하고 있다. 평창동계올림픽을 일본과 분산 개최하는 방안에 국민 50.5%가 반대하지만 국내 분산 개최에는 57.8%가 찬성한다.

강원도와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는 서울월드컵경기장, 안양·태릉의 빙상장, 무주스키장 등을 폭넓게 활용해 비용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게 국민에 대한 도리다. 복지 비용 확대로 가뜩이나 국가 재정이 어려운 상태에서 지역이기주의를 배경 삼아 국민에게 부담을 안기려 한다면 차라리 동계올림픽 개최권을 반납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