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성공
- 성공의 선택
- 부자의 약속
- 새로운 도전
- 10년 경험
- 성공의 길
- 부자
- 신삼강오륜
- 새로운 삶
- 부자의 삶
- 한국인의 저력
- 온고지신
- 부자의 길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부자의 땅
- 직업
- 행복
- 신오복
- 부자의 인생
- 부자의 세계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아름다운 꽃
- 경제의 힘
- 상선약수
- 돈과 여자
- P세대
- 아름다운 세상
- 성공의 지혜
- 인재난
- 성난 황소의 돌진
Archives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그룹의 재무제표를 살펴라 본문
10대그룹 주가수익률 보니..GS·한화·롯데 '우등생'
수출주 대비 내수주 선전에 영향…포스코·현대는 부진연합뉴스입력2015.07.30. 06:09
수출주 대비 내수주 선전에 영향…포스코·현대는 부진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대외 불안에 내수주 대비 수출주의 부진이 이어지면서 10대 그룹의 주가수익률도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30일 금융정보업체 와이즈에프엔이 올해 들어 국내 10대그룹 계열사의 시가총액 변동을 조사한 결과 GS그룹의 시가총액이 27.35% 증가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다.
GS그룹의 시총은 지난해 연말 9조3천562억원에서 전날 기준 11조9천149억원까지 껑충 뛰었다.
한화그룹(25.46%)과 롯데그룹(19.84%)이 뒤를 이었다. 한화그룹의 시총은 같은 기간 13조9천702억원에서 17조5천274억원으로, 롯데그룹은 21조1천19억원에서 25조2천888억원으로 늘어났다.
이들 그룹의 성과는 내수주의 상대적 강세에 힘 입은 것이다. 이들 그룹의 내수업종 계열사들은 두자릿수 이상의 주가 상승률을 보이며 그룹 시총 증가에 큰 몫을 했다.
GS그룹 계열사 가운데서는 GS리테일의 시총이 올들어 103.90% 불어나며 그룹주 성과를 견인했다.
한화그룹 계열사에서는 서울 시내 신규 면세점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주가가 급등한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96.85%)의 호조세가 눈에 띄었다.
롯데그룹 중에서는 롯데푸드(62.07%), 롯데칠성(54.07%), 롯데제과(11.24%) 등의 덩치가 크게 불어났다.
반면, 포스코그룹(-29.31%)과 현대차그룹(-15.18%)은 수출주 부진에 휘말려 저조한 성적을 기록 중이다.
핵심 계열사 포스코의 시총은 올해 들어 30.13% 감소했다. 포스코는 철강 업종 부진과 검찰 수사 등으로 연일 52주 신저가를 경신하는 등 부진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대표 수출주인 현대차의 시총은 같은 기간 13.61%, 기아차는 18.26% 줄었다.
한편 재계 1위 삼성그룹의 시총은 4.22% 감소했다.
호텔신라(46.61%), 에스원(18.12%), 제일모직(7.28%) 등의 시총은 불어났지만, 삼성전자(-4.82%), 삼성물산(-6.50%), 삼성중공업(-28.82%) 등의 시총은 줄었다.
sj9974@yna.co.kr
<표> 10대그룹 시총 증감률
(단위 : 억원, %)
(끝)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대외 불안에 내수주 대비 수출주의 부진이 이어지면서 10대 그룹의 주가수익률도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30일 금융정보업체 와이즈에프엔이 올해 들어 국내 10대그룹 계열사의 시가총액 변동을 조사한 결과 GS그룹의 시가총액이 27.35% 증가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다.
GS그룹의 시총은 지난해 연말 9조3천562억원에서 전날 기준 11조9천149억원까지 껑충 뛰었다.
한화그룹(25.46%)과 롯데그룹(19.84%)이 뒤를 이었다. 한화그룹의 시총은 같은 기간 13조9천702억원에서 17조5천274억원으로, 롯데그룹은 21조1천19억원에서 25조2천888억원으로 늘어났다.
이들 그룹의 성과는 내수주의 상대적 강세에 힘 입은 것이다. 이들 그룹의 내수업종 계열사들은 두자릿수 이상의 주가 상승률을 보이며 그룹 시총 증가에 큰 몫을 했다.
GS그룹 계열사 가운데서는 GS리테일의 시총이 올들어 103.90% 불어나며 그룹주 성과를 견인했다.
한화그룹 계열사에서는 서울 시내 신규 면세점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주가가 급등한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96.85%)의 호조세가 눈에 띄었다.
롯데그룹 중에서는 롯데푸드(62.07%), 롯데칠성(54.07%), 롯데제과(11.24%) 등의 덩치가 크게 불어났다.
반면, 포스코그룹(-29.31%)과 현대차그룹(-15.18%)은 수출주 부진에 휘말려 저조한 성적을 기록 중이다.
핵심 계열사 포스코의 시총은 올해 들어 30.13% 감소했다. 포스코는 철강 업종 부진과 검찰 수사 등으로 연일 52주 신저가를 경신하는 등 부진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대표 수출주인 현대차의 시총은 같은 기간 13.61%, 기아차는 18.26% 줄었다.
한편 재계 1위 삼성그룹의 시총은 4.22% 감소했다.
호텔신라(46.61%), 에스원(18.12%), 제일모직(7.28%) 등의 시총은 불어났지만, 삼성전자(-4.82%), 삼성물산(-6.50%), 삼성중공업(-28.82%) 등의 시총은 줄었다.
sj9974@yna.co.kr
<표> 10대그룹 시총 증감률
(단위 : 억원, %)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벌의 아타까운 모습을 살펴라 (0) | 2015.07.30 |
---|---|
끊임없는 혁신을 하고 성장하라 (0) | 2015.07.30 |
일자리 창출기업을 살피고 나아가라 (0) | 2015.07.29 |
농촌에서 지식 창업을 하라 (0) | 2015.07.29 |
성과급제와 임금피크제의 차이를 살피고 결정하라 (0) | 2015.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