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부자의 인생
- 신삼강오륜
- 부자의 삶
- 부자의 세계
- 새로운 삶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돈과 여자
- 신오복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한국인의 저력
- 부자의 땅
- 성공의 지혜
- 성공의 길
- 온고지신
- 직업
- 부자의 길
- 성난 황소의 돌진
- 성공의 선택
- 부자의 약속
- 경제의 힘
- 상선약수
- 새로운 도전
- 성공
- P세대
- 부자
- 아름다운 꽃
- 행복
- 인재난
- 10년 경험
- 아름다운 세상
Archives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네 가지를 끊어버리는 힘으로 가라 본문
[世智園] 노욕(老慾) | |
기사입력 2015.08.03 17:22:59 | 최종수정 2015.08.03 17:24:45 |
청나라 말기 서태후는 생전에 `살아있는 부처(老佛爺)` 혹은 `살아있는 조상(老祖宗)`이라고 불렸다. 고령의 서태후가 정사를 쥐락펴락하는 통에 신하들도 노욕(老慾)과 노추(老醜)의 폐단이 많았다. 42년간 청나라를 지배했던 서태후는 1908년 이질로 사망했는데 그의 나이 73세였다. 권력자의 최종 목표는 무병장수, 불로장생으로 정착되지만 이만큼 허황된 일이 없다. 중국 역대 왕들이 갖은 수단과 방법을 다 썼지만 평균 47세를 넘기지 못했다. 역대 27명의 조선 왕 중에서는 영조(83세)를 포함해 60세를 넘긴 이가 6명에 불과하다. 조선말 평균 수명은 30세 전후였다. 인간 수명 측면에서 21세기는 `기적의 100년`이다. 원시인류의 평균 수명이 10년, 기원전후 인간의 평균 수명이 20년 남짓이었고 현생 인류 탄생 이래 모든 인간의 평균 수명을 따져보면 18세 정도라고 하니 현재의 평균 수명 82세가 오히려 비정상이다. 논어 자한편에 보면 `공자께서는 말년에 네 가지를 끊어버렸으니 무언가를 꼭 해야겠다는 마음이 없었고, 반드시 어떠해야만 한다는 마음이나 고집도 없었으며, 자신을 중심으로 놓고 생각하는 마음조차 없었다(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는 구절이 나온다. 공자는 노년에 접어들자 청년 시절엔 여색을, 중년 시절엔 투쟁을, 노년 시절엔 탐욕을 경계해야 한다며 `군자삼계((君子三戒)`를 강조했다. 나이가 들수록 아집이 세지고 자신의 생각이나 판단을 고집하는 경향이 강해지는데 혈기가 이미 쇠약한 탓에 판단력이 흐려질 우려가 있음을 경계한 것이다. 연 매출 83조원, 종업원 23만명의 재계 5위 롯데그룹이 연일 부자간, 형제간 골육상쟁으로 만신창이다. 이 정도 규모의 기업이 주총도 이사회도 아랑곳하지 않고 아직도 총수의 한마디에 좌지우지된다니 놀랍기 짝이 없다. 노욕을 넘어 노추로 얼룩진 기업인의 말년이 아쉽고, 그런 아버지를 앞세우거나 밀어내는 아들들의 모습도 안타깝다. 기하급수적인 수명 연장 시대를 맞아 이제는 상속승계 상한 연령도 아예 법으로 정해야 하지 않을까, 잠시 터무니없는 생각을 해본다. [채경옥 논설위원] |
'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면을 삶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라 (0) | 2015.08.04 |
---|---|
아침식사는 반드시 하고 출근하라 (0) | 2015.08.04 |
시원한 강바람을 맞으며 노를 저어라 (0) | 2015.08.04 |
레시피를 따라 요리하고 궁금증을 풀어라 (0) | 2015.08.04 |
야생화가 있는 울릉도에 가라 (0) | 201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