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새로운 도전
- 신오복
- 아름다운 세상
- 부자의 세계
- 상선약수
- 성공의 지혜
- 10년 경험
- 부자의 인생
- 부자
- 직업
- 인재난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경제의 힘
- 성공의 선택
- 아름다운 꽃
- 새로운 삶
- P세대
- 행복
- 부자의 땅
- 성공
- 부자의 삶
- 부자의 길
- 성공의 길
- 한국인의 저력
- 온고지신
- 성난 황소의 돌진
- 돈과 여자
- 부자의 약속
- 신삼강오륜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민자형태 기숙사비를 확인하고 나아가라 본문
"서울 주요대학 기숙사비, 주변 원룸보다 비싸"
연합뉴스입력2015.08.25. 15:16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서울 주요대학의 기숙사 시설이 부족한데다 민자 방식으로 지어진 기숙사는 주변 원룸보다 비싼 돈을 주고 이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지난해 국내대학의 월평균 기숙사비를 조사했더니 사립대가 1인실은 31만4천원, 2인실은 19만4천원으로 국립대(22만8천원·13만9천원)보다 각각 8만6천원과 5만5천원 비쌌다고 25일 밝혔다.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2인실 기준 기숙사비 상위 50개 학교 역시 2곳을 빼고 모두 사립대였다.
2인실 기숙사비는 대전가톨릭대학교가 51만3천원으로 가장 비쌌고 고려대(38만8천원)·건국대(36만3천원)·서강대(35만7천원)가 뒤를 이었다.
특히 대학교 기숙사가 민간자본으로 지어진 경우 기숙사비가 최소 7만원(3인실)에서 최대 15만2천원(1인실) 더 비쌌다고 물가감시센터는 분석했다.
한국사학진흥재단 자료에 따르면 민자형태 2인실을 보유한 52개교(국립 32곳·사립 20곳) 가운데 상위 16개 학교가 사립대학이고 이 가운데 12곳은 수도권 소재 대학이었다.
2인실 민자 기숙사비는 연세대가 42만9천원으로 제일 높았고 고려대(38만7천원)와 건국대(36만3천원)·동국대(34만8천원)가 그 뒤를 이었다.
서울 주요대학의 기숙사비(1인실)를 주변 원룸 시세와 비교했더니 연세대 기숙사비(62만원)는 주변 월세(평균 42만원)보다 20만원가량 비쌌고 고려대(50만2천원)와 이화여대(43만1천원) 역시 주변 원룸 시세보다 기숙사비가 15% 이상 높았다.
지난해 대학의 기숙사 수용률은 18.3%여서 재학생 10명 중 2명도 수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감시센터는 이런 현상이 기숙사를 '교육기본시설'이 아닌 '지원시설'로 분류하는 등 대학생 주거복지에 대한 정부 정책이 부실하고 학교의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물가감시센터는 "정부는 주거 약자인 대학생의 복지를 위해 기숙사에 대한 명확한 규정을 확립해야 한다"며 "사립대 역시 2013년 기준 약 3조8천억원에 달하는 건축적립금 사용 용도를 명확히 해 학생들의 주거복지를 위해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잡한 세상에 나서기를 싫어한다 (0) | 2015.08.26 |
---|---|
투자한 지분의 손실금액을 살피고 나아가라 (0) | 2015.08.26 |
기업형 주택 규제를 대폭 완화하라 (0) | 2015.08.25 |
게임 시장을 키우는 전략을 펼쳐라 (0) | 2015.08.25 |
가계부채는 새로운 불씨가 될 위험이 있다 (0) | 2015.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