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한국인의 저력
- 부자의 땅
- 부자의 세계
- 온고지신
- 경제의 힘
- 부자의 약속
- 부자의 삶
- 새로운 도전
- 성난 황소의 돌진
- 성공의 선택
- 행복
- 성공의 길
- 신삼강오륜
- 부자의 길
- 돈과 여자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10년 경험
- 부자
- 상선약수
- 신오복
- 성공의 지혜
- 부자의 인생
- P세대
- 아름다운 세상
- 직업
- 아름다운 꽃
- 새로운 삶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성공
- 인재난
Archives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전기 예비율을 알고 전진하라 본문
[사설] 전기 남아돈다면서 기업에는 사용 줄이라는 엇박자는 뭔가
정부가 전기가 크게 남아돈다고 하면서도 기업들의 전기사용량 감축을 유도한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엇박자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7월 발전설비예비율이 34.0%로 14년 만에 30%대를 넘어섰다. 설비예비율은 전력수요가 가장 많을 때(피크)에도 가동되지 않는 예비 발전설비를 말하는데 비중이 높을수록 발전설비에 여유가 있다는 뜻이다. 새로 가동된 발전소가 많아지면서 전력수요에 비해 전력공급이 늘어난 게 원인이라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논리로도 귀결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부가 7월 12일과 21일 기업들에 전기사용량 감축을 요청하는 `급전(急電) 지시`를 내린 게 탈원전 합리화를 위한 것이 아니었느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통상 급전 지시는 전력 수급 상황이 급변할 때 내려진다. 급전 지시가 오면 기업들은 일부 생산라인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전기사용량을 줄인다. 자발적으로 감축하는 것이고 정부 보조금을 받는다지만 생산 차질이 불가피하다. 급전 지시는 2014년 도입됐지만 지난해까지 단 세 차례만 내려질 만큼 드물었다.
7월에 두 번이나 급전 지시를 내린 것이 논란이 되자 정부는 어제 해명자료에서 "7월 설비예비율은 높았으나 최대 전력 사용량 경신이 예상되는 등 기준을 충족했기 때문이지 탈원전을 위해 인위적으로 예비율을 높이려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서울의 최고기온이 섭씨 33도까지 올라 냉방수요가 폭증했던 7월 21일 실제 전력공급 능력인 공급예비율이 12.3%까지 떨어진 것은 사실이다. 급전 지시에 따라 기업들이 전기사용량을 감축하지 않았다면 10%대로 낮아졌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지난해 8월 12일에는 공급예비율이 8%대를 기록했는데도 정부는 급전 지시를 내리지 않았다.
정부 해명이 궁색해지는 이유다. 한 자릿수로 공급예비율이 떨어지면 에너지 수급 논란으로 탈원전 정책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가 미리 조치를 취한 것 아니냐는 `합리적 의심`이 드는 근거이기도 하다. 정부의 해명이 사실이라면 다행이지만 탈원전 정책을 밀어붙이기 위한 무리수였다면 그냥 넘길 일이 아니다. 정부 정책의 신뢰성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정책에도 큰 구멍이 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녁이 있는 삶을 말하나 녹록치 않다 (0) | 2017.08.08 |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결정한 내용을 보아라 (0) | 2017.08.08 |
자기자본이익률(ROE)을 알고 개선하라 (0) | 2017.08.08 |
득실에 대한 깊은 고민에 빠진 이유는 있다 (0) | 2017.08.07 |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0) | 2017.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