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성공의 길
- 부자의 세계
- 부자의 길
- P세대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성공의 선택
- 10년 경험
- 상선약수
- 부자의 삶
- 한국인의 저력
- 아름다운 세상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직업
- 부자의 땅
- 부자
- 부자의 약속
- 부자의 인생
- 인재난
- 아름다운 꽃
- 새로운 도전
- 경제의 힘
- 온고지신
- 신삼강오륜
- 새로운 삶
- 돈과 여자
- 성공의 지혜
- 성공
- 행복
- 신오복
- 성난 황소의 돌진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세상은 다 똑같은 마음으로 간다 본문
"우리 가족이 만든 '가족 이야기'라 더 각별합니다"
입력 2018.08.14. 03:00
9일 서울 강남구의 한 연습실.
연출가의 사인이 떨어지자 묵직한 가방을 든 배우 전무송 씨(77·윌리 로먼 역)가 침대에 누워 있는 아내 린다(박순천)를 향해 천천히 걸어 나왔다.
[동아일보]
9일 서울 강남구의 한 연습실. 연출가의 사인이 떨어지자 묵직한 가방을 든 배우 전무송 씨(77·윌리 로먼 역)가 침대에 누워 있는 아내 린다(박순천)를 향해 천천히 걸어 나왔다.
아서 밀러(1915∼2005) 원작의 ‘세일즈맨의 죽음’을 실제 공연처럼 이어서 연습하는 중이었다. 실적, 경기 걱정에 자식에 대한 염려로 가득 찬 예순 셋의 세일즈맨이 살아 움직이기 시작했다.
데뷔 55년 차인 전 씨는 수차례 윌리 역을 맡았다. 하지만 이번은 더 각별하다고 했다. 원로 연극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늘푸른연극제’의 개막작인 데다, 그의 실제 가족이 총출동해 함께 극을 만들기 때문이다. 사위 김진만 씨가 연출가, 딸 전현아 씨가 예술감독이고 아들 비프 역은 실제 아들인 배우 전진우 씨가 맡았다. 그는 “한 가족의 이야기를 실제 ‘가족극’으로 만들고 있다”며 웃었다.
―개막작을 맡은 소회는….
“연극인은 연극할 때 제일 행복한 법이다. 소위 ‘원로’라 불리는 배우들이 꾸준히 활동하는 것이 후배들에게 희망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수락했다. 지금 어렵고 힘들어도 ‘언젠가 저 선배들처럼 되겠지’ 하고 느끼게끔 하고 싶다.”
―윌리 역은 7번째다. 얼마나 각별한 작품인가.
“창작극도 좋지만 옛 생각을 해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작품을 올리는 것도 좋을 것 같았다. 극단 성좌의 권오일 연출가(1931∼2008)가 1984년에 처음 윌리 로먼 역을 맡겼다.
선생님이 돌아가시기 전해 ‘이 작품 한 번만 더 하자’고 하셨는데 그러지 못해 섭섭했다. 후배들이 만들어준 자리인 만큼 올해 10주기를 맞은 선생님을 기리며 이 작품을 택하는 게 좋을 것 같았다. 어쩌면 이번이 내 마지막 ‘세일즈맨의 죽음’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했다.”
―40대에 연기한 윌리와 70대인 지금의 윌리는 어떻게 다른가.
“첫 무대 때 대본을 읽어보니 내 아버지와 윌리가 똑같더라. 자식에 대한 그 대단한 바람, 자부심…. 당시에는 아버지에 대해 상상하며 연기했다. 지금은 연기가 아니라 이야기하는 것 같다.
우리 아들(비프 역)도 마흔이 다 돼 연극한다고 저러고 있고.(웃음) 이 역을 많이 해봐서가 아니다. 뭔가를 확실히 알면 표현은 그냥 나온다. 아서 밀러가 원했던 윌리인지는 아직 잘 모르겠지만.”
―관객들이 어떤 걸 느끼길 기대하나.
“세상 아버지들 다 똑같은 마음 아닌가. 자식도 마찬가지다. 부모에 대한 바람, 갈등, 실망…. 다들 엉킨 것들이 있다. 들여다보면 결국 욕심 때문이다. 모든 윌리 같은 아버지, 비프 같은 아들들이 이 작품을 보고 당신들이 원하는 진짜 행복을 찾았으면 좋겠다.”
―아들, 딸, 사위가 합심해 무대를 만드는 과정을 지켜보는 소감은….
“실은 아내에게 ‘우리 가문을 일으켜 줘’라고 고백했다. 몸에 뭐가 올라오는 것 같아 사랑한단 말은 차마 못 하고…. 지금 보니 이게 가문이지 뭔가. 이런 걸 원했던 것 같다.”
―공연문화가 어떻게 발전해 가길 바라나.
“생색내기 지원뿐인데 그것만 바라보는 처지도 불쌍하다. 예술가가 마음껏 창조할 수 있는 환경이 먼저다. 자기 목적을 위해 비열하게 예술가들을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 이념을 앞서 가는 게 예술이다.”
17∼26일 서울 대학로 예술극장 대극장. 3만 원.
'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체시계를 철저히 관리하고 나아간다 (0) | 2018.08.20 |
---|---|
식욕을 자급하고 중독성이 강하다 (0) | 2018.08.17 |
혼자가 무서운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0) | 2018.08.13 |
뇌중풍의 증상을 알고 확인한다 (0) | 2018.08.09 |
의혹의 중심을 알고 성찰한다 (0) | 2018.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