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제 19호 태풍의 위력을 알고 대비한다 본문

행복

제 19호 태풍의 위력을 알고 대비한다

신오덕 2018. 8. 24. 10:41

태풍 '솔릭' 수도권 예비특보 발효..24일 낮까지 많은 비

유재규 기자 입력 2018.08.23. 22:08

제 19호 태풍 '솔릭'이 목포 해상부근에서 시간당 23km 속도로 서서히 북상하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이 태풍 영향권에 언제 들게 될지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기상청은 23일 오후 9시를 기준으로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 태풍 예비특보를 발령한 상태이며 24일 새벽부터는 강한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리겠다고 예보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태풍 반경 300km 수도권 직접적인 영향 받아
기상청 "24일 낮까지 최대 150mm 비 내릴 것"
제19호 태풍 '솔릭'이 북상하고 있는 23일 오후 전북 전주시 전북대학교 앞에서 학생들이 우산으로 비를 피하며 길을 건너고 있다. 기상청은 태풍 '솔릭'이 전남 영광 부근에 상륙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보했다.2018.8.23/뉴스1 © News1 문요한 기자

(수원=뉴스1) 유재규 기자 = 제 19호 태풍 '솔릭'이 목포 해상부근에서 시간당 23km 속도로 서서히 북상하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이 태풍 영향권에 언제 들게 될지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기상청은 23일 오후 9시를 기준으로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 태풍 예비특보를 발령한 상태이며 24일 새벽부터는 강한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리겠다고 예보했다.

기상청은 당초 태풍이 수도권을 관통할 것으로 예보했지만 진로가 남쪽으로 좀더 꺾일 것으로 수정 발표했다.

하지만 태풍의 반경이 300km로 크기 때문에 수도권도 태풍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24일 낮까지는 50~150mm의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측했다.

인천 해안과 경기남·북부앞바다는 2.0~5.0m로 매우 높은 물결이 일겠다.

기상청 관계자는 "태풍이 수도권에 들어서면 많은 비와 함께 최대순간풍속 108~144km/h로 강한 바람이 불 것으로 본다"며 "옥외 시설물이나 고층건물의 유리창, 가로수, 전신주의 파손, 공사현장의 구조물 붕괴 등 큰 피해가 없도록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제19호 태풍 '솔릭(SOULIK)'이 북상중인 23일 전북 군산시 비응항에 피항한 어선들이 육지에 올려져 있다. 6년 만에 한반도를 관통하는 솔릭의 크기는 중형이지만 강도는 '강'으로 위력이 세다. 2018.8.23/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솔릭' 한반도 떠났다…호남-충청-강릉 거쳐 동해로(종합)

강원, 울릉도·독도, 경북·충북 일부지역 제외 태풍특보 해제

기사 이미지제19호 태풍 '솔릭' 이동 경로 [기상청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 제19호 태풍 '솔릭'이 강원도 강릉 주변을 거쳐 24일 오전 11시를 전후해 동해로 빠져나갔다.

기상청에 따르면 '솔릭'은 이날 오전 9시 강릉 남서쪽 40㎞ 부근 육상을 거쳐 오전 10시 현재 강릉 남서쪽 20㎞ 부근 육상에 있다가 동해로 빠져나갔다.

기상청 국가태풍센터 관계자는 "현재 태풍의 중심이 육지에서 바다로 빠져나가는 상황"이라며 "오전 11시 정도에는 동해로 완전히 이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오전 11시 이후에도 강원도 일부 영동 지역에는 강풍이 불 수 있다.

기사 이미지(속초=연합뉴스) 이종건 기자 = 제19호 태풍 '솔릭'이 동해안을 통해 동해상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24일 속초 영랑동 해안도로변 갯바위를 파도가 넘어들어오고 있다. momo@yna.co.kr (끝)


이 관계자는 "오후는 돼야 완전히 태풍의 영향권에서 벗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전날 강한 중형급 태풍이던 '솔릭'은 한반도를 거치며 현재 약한 소형으로 작아진 상태다.

강풍 반경은 120㎞이고 중심기압은 985hPa(헥토파스칼)이다.

솔릭은 전날 오후 11시께 전남 목포에 상륙해 호남과 충청, 강원 등 내륙지방을 관통했으나 피해는 애초 우려했던 것보다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관영 기상청 예보정책과장은 "태풍이 바다에서 육지로 들어오면서 마찰력에 의해 약해졌다"며 "아울러 위도가 올라가면서 와해된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다.

열대 지역에서는 하층에서 상층까지 한 축으로 연결돼 견고함을 유지하던 태풍은 상층의 바람이 강한 중위도로 넘어오면 구조가 흐트러진다.

이로 인해 태풍의 소용돌이가 와해되면서 차츰 온대저기압으로 변해 소멸한다.

'솔릭'은 25일 오전 9시께 일본 삿포로 부근 해상에서 소멸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강원도, 울릉도·독도, 경북과 충북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태풍 특보가 해제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