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통인화랑을 알고 배운다 본문

행복

통인화랑을 알고 배운다

신오덕 2019. 12. 30. 10:45

낙원아구찜·삼각지 원대구탕 등 '서울미래유산' 16개 선정

김지헌 입력 2019.12.30. 06:01

서울시는 유·무형의 문화 자산 16개를 2019년도 '서울미래유산'으로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통인화랑, 조선화랑, 예화랑, 샘터화랑 등 1970년대 문을 연 서울의 오래된 화랑 4곳은 일반인이 미술을 접하기 어려웠던 시기부터 미술의 대중화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유산으로 선정됐다.

시가 선정하는 서울미래유산은 '다수 시민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공통의 기억과 감성을 지닌 근·현대 서울의 유산'을 뜻한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화랑·소설·요리·옛 샘터 사옥도 이름 올려..2012년 이후 총 470개
아귀찜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서울시는 유·무형의 문화 자산 16개를 2019년도 '서울미래유산'으로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1977년 개업해 종로3가 낙원동 아귀찜 거리의 터줏대감이 된 '옛날집 낙원아구찜'과 1979년 문을 연 삼각지 대구탕 골목의 최장수 가게 '원대구탕'이 이름을 올렸다.


통인화랑, 조선화랑, 예화랑, 샘터화랑 등 1970년대 문을 연 서울의 오래된 화랑 4곳은 일반인이 미술을 접하기 어려웠던 시기부터 미술의 대중화에 기여한 점을 인정받아 유산으로 선정됐다.

통인화랑 [서울시 제공]

건축가 김수근 작품인 대학로 '공공일호'(구 샘터 사옥), 건축가 이희태가 설계한 용산구 청파동 '통일교 전 본부교회', 용산구 도원동 용산제일교회 교회동 건물, 중구 환일고 십자관 등은 빼어난 건축미로 이름을 올렸다.


최서해의 '전아사', 하근찬의 '전차구경', 나도향의 '어머니' 등 근현대 서울을 배경으로 한 소설 3편과 불고기·구절판 등 음식 2종류, 서울 음식 조리법을 기록한 1939년 발간 책자 '조선요리법'도 들어갔다.


환일고 십자관 [서울시 제공]

시가 선정하는 서울미래유산은 '다수 시민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공통의 기억과 감성을 지닌 근·현대 서울의 유산'을 뜻한다.


2012년부터 시행했고 올해 선정분까지 총 470개의 유산이 있다. 소유자가 동의해야 선정한다.


선정된 유산에는 인증서와 동판 형태의 표식을 부여하고 다방면으로 홍보한다. 지난해부터는 유지·보존에 필요한 수리비를 지원하고 있다.

조선요리법 표지 [서울시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