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행복
- 직업
- 아름다운 세상
- 부자의 땅
- 돈과 여자
- 신오복
- 부자의 길
- 부자의 세계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P세대
- 부자의 삶
- 부자
- 부자의 인생
- 새로운 삶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신삼강오륜
- 부자의 약속
- 10년 경험
- 상선약수
- 온고지신
- 성난 황소의 돌진
- 경제의 힘
- 아름다운 꽃
- 새로운 도전
- 한국인의 저력
- 인재난
- 성공의 선택
- 성공
- 성공의 길
- 성공의 지혜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모니터링 체제를 가동해야 한다 본문
'우한 폐렴' 무증상 감염자에 검역망 속속 뚫렸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입력 2020.01.28. 04:04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2019-nCoV·우한 폐렴)에 걸리고도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이른바 '무증상·잠복기' 감염자에 의해 국내 검역망이 잇따라 뚫렸다.
이들은 초기 증상이 나타난 뒤에도 호텔에 투숙하고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등 외부 활동을 한 것으로 드러나 본격적인 지역사회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2019-nCoV·우한 폐렴)에 걸리고도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이른바 ‘무증상·잠복기’ 감염자에 의해 국내 검역망이 잇따라 뚫렸다.
이들은 초기 증상이 나타난 뒤에도 호텔에 투숙하고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등 외부 활동을 한 것으로 드러나 본격적인 지역사회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28일 0시부터 검역 대상 오염지역을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중국 전역으로 지정하고, 감염병 위기 경보도 ‘주의’에서 ‘경계’로 한 단계 올리는 등 대응 수위를 높였다. 하지만 하루 3만2000명에 달하는 중국 입국자 모두를 대상으로 촘촘한 검역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27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현재 국내 ‘우한 폐렴’ 확진자 4명 가운데 세 번째, 네 번째 환자는 입국 당시 발열,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없어 검역망에 걸리지 않았다. 첫 번째, 두 번째 확진자는 입국 당시 가벼운 증상을 보여 공항에서 각각 ‘조사 대상 유증상자’와 ‘능동감시 대상자’로 분류됐다.
하지만 지난 26일 세 번째 확진자인 54세 한국인 남성과 27일 네 번째로 확진받은 55세 한국인 남성은 입국 당시 별다른 증상이 없어 지역사회로 복귀했다가 이후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났다.
특히 네 번째 환자는 지난 20일 입국 후 21일 감기, 25일 고열(38도)로 두 차례 지역 병원을 방문했는데도 걸러지지 않았다. 네 번째 환자가 조사 대상 유증상자로 분류돼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에 격리된 건 26일이다. 21일 감기 증상이 나타난 뒤 6일째다.
세 번째, 네 번째 확진자가 증상이 나타난 뒤에도 수일간 지역사회에서 활동을 계속하면서 접촉자들에 대한 바이러스 확산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보건 당국은 이 기간 감염자의 동선과 접촉자들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검역이 입국 당시 증상을 보이는 사람의 지역사회 복귀를 막기 위한 1차 방어벽이라면 2차 방어벽으로 의료기관의 선별진료 시스템 등을 만들어둔 것”이라며 “1, 2차 방어벽이 모두 제 역할을 못한 셈이다. 특히 의료기관에서 의심환자 사례로 보고 걸려졌으면 노출자와 노출 범위가 지금보다 훨씬 줄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2015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의 상당수가 의료기관에서 전파된 이후 감염병 진료체계가 한층 강화됐지만, 이번에 다시 허점을 드러낸 것이다.
정부는 감염병 사례 정의를 확대해 좀 더 철저한 검역과 환자·접촉자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키로 했다.
하지만 이들 역시 증상이 가볍거나 나타나지 않으면 공항 검역을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처음엔 상기도(목)에 감염을 일으키고 5~7일 후 하기도(폐)를 침범하는 특성이 있다”며 “초기 증상이 인후통(목통증) 등 감기와 구분이 쉽지 않다. 이런 증상도 없으면 초동 검역에서 놓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한의사협회는 지난 26일 발표한 담화문에서 “중국에 대해 전면적인 입국금지 조치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문가들은 지역사회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무엇보다 오염지역 입국자 스스로 바이러스 잠복기인 최대 2주간 외부 활동을 자제하고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보건 당국 콜센터(1339)에 신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건복지부는 박능후 장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가동하고 감염병 위기 경보를 ‘주의’에서 ‘경계’로 높였다.
'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몸에 좋은 영양소를 확인한다 (0) | 2020.01.30 |
---|---|
인지기능을 알고 나아간다 (0) | 2020.01.29 |
극단적인 변화를 주지 않아야 한다 (0) | 2020.01.23 |
심장마비의 원인을 알고 확인한다 (0) | 2020.01.22 |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찾는다 (0) | 2020.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