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성공의 지혜
- 부자의 길
- 부자
- 성난 황소의 돌진
- 부자의 인생
- 부자의 삶
- 신오복
- 경제의 힘
- 성공의 선택
- 새로운 도전
- 부자의 약속
- 신삼강오륜
- 직업
- 행복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아름다운 꽃
- 부자의 땅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부자의 세계
- 10년 경험
- 한국인의 저력
- 온고지신
- 성공의 길
- 성공
- 새로운 삶
- 상선약수
- 돈과 여자
- 인재난
- 아름다운 세상
- P세대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역량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문
20년 만에 최고 수익률..국민연금, 73조 넘게 벌었다
황국상 기자 입력 2020.02.28. 04:20
국민연금의 지난해 한 해 운용 수익률이 11.3%로 잠정집계됐다.
1999년 11월 국민연금 기금의 체계적인 관리·운용을 위해 기금운용본부가 설립된 이후 최고 수준의 수익률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지난해 말 기준 국민연금기금 적립금이 운용수익금 증가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97조9000억원 늘어난 736조7000억원에 달했고 연간 운용 수익률은 11.3%로 잠정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국민연금의 지난해 한 해 운용 수익률이 11.3%로 잠정집계됐다. 1999년 11월 국민연금 기금의 체계적인 관리·운용을 위해 기금운용본부가 설립된 이후 최고 수준의 수익률이다. 지난해 한 해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흑자에 비해서도 1.6배 수준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지난해 말 기준 국민연금기금 적립금이 운용수익금 증가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97조9000억원 늘어난 736조7000억원에 달했고 연간 운용 수익률은 11.3%로 잠정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기금운용본부가 설립된 이후 두 자릿수 대 수익률을 기록한 것은 2009년 10.39%, 2010년 10.37%에 이어 이번이 세번째다. 국민연금은 1988년 설립된 이후 지난해까지 32개 연도에서 연 평균 5.86% 수익률을 기록해 왔다.
지난해 한 해 기금운용 수익금은 73조4000억원으로 잠정집계됐다. 이는 2200만명에 이르는 국민연금 가입자들이 납부한 연금보험료 47조8000억원에 비해 1.5배 더 많은 수준이다. 지난해 국민연금이 지급한 연금액(22조8000억원)에 비해서도 3배 이상 더 많은 데다 한국의 2019년 무역수지 흑자(45조3000억원)에 비해서도 1.6배 수준이다.
국민연금 관계자는 "2019년 수익률이 11.3%에 이르는 것은 미국·중국간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등 불확실성이 제기된 가운데서도 미국 등 글로벌 주요 국가가 기준금리 인하 및 경기부양 노력을 진행하고 각종 경제지표가 개선되면서 글로벌 증시가 강세를 보인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산군별로는 해외주식 부문의 수익률이 30.63%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하반기 미·중 무역합의 타결 기대감으로 글로벌 증시가 상승한 데다 우호적 환율효과가 가세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국내주식 부문의 수익률도 12.58%에 달했다.
코스피의 1년 상승률(7.67%)에 비해 훨씬 높은 수준이다.
반도체 산업 등 수출기업의 실적회복 기대감으로 증시가 지난해 연말 강세를 보인 영향이었다. 해외채권 부문(11.85%) 부문 역시 글로벌 경기부양 노력에 따른 기준금리 인하 등 영향으로 채권시장 강세 영향을 받았다.
대체투자 역시 이자·배당 수익과 함께 보유자산의 가치 상승으로 9.63%에 달하는 수익률을 기록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지난해부터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자산군의 비중이 높아졌음에도 우수한 수익률을 거뒀다는 부분이다.
2009년만 해도 저수익 안전자산으로 분류된 채권의 비중이 77.5%에 달한 반면 주식 및 대체투자의 비중은 각각 17.8%, 4.5%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말 기준으로는 채권 비중이 48%(-29.5%p)로 낮아진 반면 주식과 대체투자 비중은 각각 40.6%(22.8%p), 11.5%(7%p)로 커졌다.
국민연금은 "국민연금 규모가 2024년에 1000조원, 2041년에 1700조원에 이르고 향후 10년은 유동성 부담 없이 적극적으로 기금을 운용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국내 시장에서의 투자한계를 극복하고 투자기회가 풍부한 해외 투자를 보다 활성화해 기금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해외투자 종합계획을 마련하고 있고 안정적 기금관리를 위해 우수한 투자전문 인력 확충과 인프라 개선 등 기금본부 역량강화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했다.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간 국민소득을 알고 확인한다 (0) | 2020.03.03 |
---|---|
지분 4% 보유한 기업의 현황을 살핀다 (0) | 2020.03.02 |
생산활동 위축을 알고 확인한다 (0) | 2020.02.27 |
출퇴근 시차제를 알고 나아간다 (0) | 2020.02.26 |
가계 재정상황을 알고 움직인다 (0) | 2020.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