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부자의 세계
- 부자의 약속
- 부자
- 직업
- 온고지신
- 아름다운 꽃
- 성공의 지혜
- 새로운 삶
- 성공의 길
- 돈과 여자
- 행복
- 성공의 선택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부자의 길
- 부자의 인생
- 상선약수
- 신삼강오륜
- 한국인의 저력
- 부자의 삶
- 아름다운 세상
- 인재난
- 경제의 힘
- 부자의 땅
- 새로운 도전
- P세대
- 신오복
- 성난 황소의 돌진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10년 경험
- 성공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상반기 목표를 살피고 하반기를 준비한다 본문
기업 10곳 중 7곳 'C-쇼크'로 상반기 경영 목표 미달
김현철 기자 입력 2020.07.28. 08:25 댓글 5개
자동요약
코로나19로 촉발된 'C-쇼크'가 경제 전반을 뒤흔들면서 올해 상반기 목표 실적을 달성하지 못한 기업이 10곳 중 7곳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236개사를 대상으로 '올해 상반기 목표 실적 달성 여부'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73.3%가 '달성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올 상반기 실적이 역성장한 기업 129개사는 지난해 대비 실적이 평균 29.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람인 조사..236개사 실적 달성률, 목표 대비 평균 56%에 그쳐
© 뉴스1
(서울=뉴스1) 김현철 기자 = 코로나19로 촉발된 ‘C-쇼크’가 경제 전반을 뒤흔들면서 올해 상반기 목표 실적을 달성하지 못한 기업이 10곳 중 7곳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236개사를 대상으로 ‘올해 상반기 목표 실적 달성 여부’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73.3%가 ‘달성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이들 기업의 실적 달성률은 애초 목표 대비 평균 56%에 그쳤다. 구체적으로는 ‘70%’(19.7%), ‘50%’(16.8%), ‘80%’(13.9%), ‘60%’(12.7%), ‘90%’(9.2%), ‘20%’(8.7%) 등 순으로 달성률이 50% 이하인 기업이 44.5%에 달했다.
상반기에 겪은 경영상 어려움(복수응답)은 단연 ‘매출 감소’(74.6%)가 첫 번째였다. 이밖에 ‘영업기회 축소’(21.4%), ‘시장 성장성 후퇴’(17.3%), ‘유휴인력 증대 및 인건비 부담’(14.5%), ‘융자 중단 등 자금조달 어려움’(9.8%) 등이 있었다.
반면 목표 실적을 달성한 기업 63곳은 평균 107%의 달성률을 보였다.
실적 달성 요인(복수응답)으로는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이 적은 업종임’(47.6%)을 가장 많이 꼽앗다.
다음으로 ‘발전 중인 산업으로 시장 성장성이 큼’(15.9%), ‘코로나 이슈가 호실적 요인으로 작용’(15.9%), ‘공격적인 영업, 마케팅에 따른 성과’(14.3%)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상반기와 실적을 비교했을 때 54.7%가 ‘하락했다’고 답변했다. ‘동일하다’는 기업은 25.8%였으며, ‘성장했다’는 응답은 19.5%에 그쳤다.
올 상반기 실적이 역성장한 기업 129개사는 지난해 대비 실적이 평균 29.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올 상반기 성장한 기업 46개사의 평균 성장률은 37%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 기업의 44.1%는 하반기 실적도 ‘비슷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이어 29.2%는 ‘악화될 것’이라고 답했으며, 26.7%는 ‘좋아질 것’이라고 답했다.
69개사는 하반기 실적이 악화될 것으로 보는 이유(복수응답)로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될 것 같아서’(84.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외에 ‘고객사/관계사가 어려워져서’(29%),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내수가 막혀서’(26.1%), ‘국제 정세/경기도 악화되어서’(17.4%) 등이 있었다.
반면 63개사는 하반기 실적이 개선될 것 같은 이유(복수응답)로 ‘실적 지표가 개선되고 있어서’(50.8%), ‘코로나가 진정세로 돌아설 것 같아서’(22.2%), ‘코로나가 호재인 업종이어서’(12.7%), ‘상반기까지 R&D 등 경쟁력 강화에 매진해서’(12.7%) 등을 들었다.
한편 기업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영 위기 극복을 위한 조치(복수응답)로 ‘법인세 감면, 유예 등 세제혜택’(46.2%)을 첫 번째로 꼽았다. 계속해서 ‘휴직 인원 인건비 등 긴급 자금 지원’(39.4%), ‘재택근무 실시 등 위한 인프라 지원’(20.3%), ‘공적자금 투입 등 내수 진작’(19.5%), ‘신규 판로개척, 마케팅 지원’(15.3%), ‘저리 대출 등 융자’(13.6%) 등 순이었다.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매수세가 높은 것을 꼼꼼히 살핀다 (0) | 2020.07.30 |
---|---|
사업 로드맵을 살피고 배운다 (0) | 2020.07.29 |
부동산 매매건수를 알고 확인한다 (0) | 2020.07.27 |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를 본단 (0) | 2020.07.24 |
골이 너무 높은 상황이다 (0) | 2020.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