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새로운 삶
- 인재난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아름다운 세상
- 직업
- 신삼강오륜
- 성공의 선택
- 새로운 도전
- 부자의 땅
- 성공의 길
- 부자의 세계
- P세대
- 10년 경험
- 부자의 인생
- 성난 황소의 돌진
- 한국인의 저력
- 신오복
- 아름다운 꽃
- 부자의 길
- 상선약수
- 온고지신
- 행복
- 돈과 여자
- 경제의 힘
- 부자의 약속
- 성공
- 성공의 지혜
- 부자의 삶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부자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 발표한 중위소득을 알고 나아간다 본문
한국 상대빈곤율, OECD 4위..6명중 1명 중위소득 50%도 못벌어
서미선 기자 입력 2021. 10. 25. 11:13 댓글 3개
기사 도구 모음
자동요약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 중 4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OECD에 따르면 2018~2019년 기준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은 16.7%로 조사대상 37개국 중 4번째로 높았다.
상대적 빈곤율은 전체인구의 소득을 한 줄로 세웠을 때의 중간값인 중위소득의 50%에 미치지 못하는 계층이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OECD의 상대적 빈곤율 평균은 11.1%로 한국은 이보다 5.6%포인트 더 높다.
1위 코스타리카·2위 미국..OECD 평균보다 높은 16.7%
고령인구 급증영향..65세이상 상대적 빈곤율 43% 수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종=뉴스1) 서미선 기자 =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국 중 4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6명 중 1명은 전체 사회 구성원의 중위소득보다 적은 돈을 벌어 사회 구성원 대부분이 누리는 일정수준의 생활을 누리지 못하고 있었다.
25일 OECD에 따르면 2018~2019년 기준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은 16.7%로 조사대상 37개국 중 4번째로 높았다.
상대적 빈곤율은 전체인구의 소득을 한 줄로 세웠을 때의 중간값인 중위소득의 50%에 미치지 못하는 계층이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상대적 빈곤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상대적으로 가난한 국민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올해 기준 중위소득 50% 기준은 1인 가구 91만4000원, 2인 가구 154만4000원, 3인 가구 199만2000원, 4인 가구 243만8000원이었다.
이에 미치지 못하는 소득을 버는 사람이 전체 인구의 16.7%라는 것이다.
한국보다 상대적 빈곤율이 높은 나라는 코스타리카(20.5%), 미국(17.8%), 이스라엘(16.9%) 3개국뿐이다.
OECD의 상대적 빈곤율 평균은 11.1%로 한국은 이보다 5.6%포인트 더 높다.
주요 선진국인 일본(15.7%), 이탈리아(14.2%), 영국(12.4%), 캐나다(11.6%), 독일(9.8%), 프랑스(8.5%) 등보다 높은 수치다.
핀란드(6.5%), 덴마크(6.1%), 아이슬란드(4.9%) 등 북유럽 국가와 비교하면 차이는 더 커진다.
한국의 높은 상대적 빈곤율 수준에는 고령 인구의 급격한 증가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2018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빈곤율은 43.4%로 OECD 평균(15.7%)의 약 3배에 달한다.
전체 고령자 중 노후 준비가 된 사람은 약 50%에 그쳤다.
특히 혼자 사는 고령자는 3명 중 1명만 노후준비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유입된 이동인구를 알고 대응한다 (0) | 2021.10.27 |
---|---|
우선협상대상자의 자금조달 계획을 살펴야 한다 (0) | 2021.10.26 |
누리호 예산 집행을 알고 나아간다 (0) | 2021.10.22 |
글로벌 50대 브랜드의 가치를 알고 확인한다 (0) | 2021.10.21 |
서울회생법윈의 결정을 알고 나아간다 (0) | 2021.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