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성공의 길
- 10년 경험
- 부자
- 성공
- 부자의 길
- 신삼강오륜
- 직업
- 아름다운 꽃
- 인재난
- 부자의 세계
- 부자의 삶
- 부자의 땅
- 성공의 지혜
- 새로운 도전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신오복
- 행복
- 한국인의 저력
- 아름다운 세상
- 부자의 인생
- 성공의 선택
- 새로운 삶
- 온고지신
- 돈과 여자
- 경제의 힘
- 상선약수
- 성난 황소의 돌진
- P세대
- 부자의 약속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부자의 삶은 행복합니다 본문
[만물상] 고우영
|
▶‘라이파이’(산호) ‘엄마 찾아 삼만리’
(김종래) ‘의사 까불이’(김경언)
‘땡이’(임창) ‘도전자’(박기정)
‘만리종’(박기당) ‘보리피리’(엄희자)….
공책에 그려보던 만화 주인공들 가운데
짱구박사와 아들 짱짱이는 특히 인기
였다.
각진 머리와 몇 가닥 안 되는 머리카락을
단순한 선으로 묘사해 놓아 따라 그리기
쉬웠다.
짱구박사 부자의 순진하고 익살스런
소동은 어린이 코믹만화의 새 장(章)
이었다.
▶‘짱구박사’의 작가 추동성이 엊그제
떠나간 고우영이다.
그가 이 만화를 그리기 시작한 것이 58년.
당시 다니던 동성고에서 필명을 땄다.
그는 아직 한창인 67세에 갔지만,
우리 대중 만화사(史)의 첫 걸음이라
할 ‘만화방시대’를 연 원로였다.
70년대엔 아예 만화시장과 만화문화를
단숨에 바꿔놓았다.
‘수호지’와 ‘삼국지’는 만화를 어린이
전유물에서 어른들의 것으로 확대 격상
시켰다.
고우영 스스로가 문화현상이었다.
▶익살맞은 비틀기, 걸쭉한 입담,
능청스런 외설.
그의 재주는 만물상 같은 고전 속 인간
군상들을 독특하게 각색해내는 인물
해석에서 특히 빛났다.
‘수호지’의 무대(武大)는 한국 만화에서
가장 빼어난 캐릭터로 꼽힌다.
리본으로 묶은 머리, 삐져나온 앞니에
단추구멍 만한 눈을 하고서 요부 반금련
과 어울리지 않는 커플을 이뤘다.
냉대받으면서도 선의와 진심을 잃지
않는 무대는 ‘반(反)영웅’으로 떠올라
대학마다 팬클럽이 결성될 정도였다.
▶‘수호지’는 73년 스포츠신문에 연재
되다 중단됐다.
부패한 조정과 관리에 대항한 양산박
호걸들 얘기가 불온하게 비쳤기 때문
이다.
관군이 뇌물에 매수되는 장면이 국가
권위를 실추시킨다고 해 원고 수정을
거듭하던 고우영은 붓을 꺾었다.
그는 말년까지 ‘수호지’ 완결에 매달렸
지만 암을 이겨내지 못했다.
그는 자기 캐리커처도 유비(劉備)나 무대
처럼 어리숙하게 그렸다.
특유의 장난기와 천진함이다.
그가 시대의 위선과 가식에 던졌던
조소(嘲笑)는 이제 고전(古典)이 됐다.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별이 빛난 밤에 (0) | 2005.05.02 |
---|---|
[스크랩] 「좋은생각 메일진 제609호 - 나무의 진정한 아름다움」 (0) | 2005.04.30 |
기쁨을 누리기 위해서 (0) | 2005.04.29 |
자기 선물 (0) | 2005.04.27 |
[스크랩] 쓴 잔 / 송명희 (0) | 200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