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스크랩] 국립공주박물관 새단장... 본문

성공

[스크랩] 국립공주박물관 새단장...

신오덕 2005. 5. 4. 12:47
국립공주박물관 새단장...천년의 신비를 찾아서 떠나서
백제 제25대 무령왕릉의 소장품을 한눈에 '쏘옥'
ⓒ 2005 HelloDD com
백제의 수도 공주.
금강이 유유히 흐르고 있는 이곳은 과거 화려했던 백제의 흔적들을 찾아볼 수 있다.

그 대표적인 곳이 이번에 찾아갈 국립공주박물관이다. 이곳은 백제를 대표하는 국보급 유물과 2천여점이 넘는 다양한 유물들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좋은 장소다.

특히 박물관에는 1400년 이상 잠자던 백제 제25대 무령왕의 소장품들을 만날 수 있다.

또 국보로 지정된 계유명삼존천불비상(국보 제108호), 금제관식(국보 제154호), 석수(국보 제162호) 등 19점도 있다.

공주박물관의 전시실은 2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제1전시실은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은 모두 108종 2,906점이 있다. 대표적으로 묘지석, 왕의 관식, 다리작명, 은제팔찌 등이 전시되고 있다.

왕과 왕비의 목관도 복원하여 보여주고 있다. 3D영상 시스템을 갖춰 관람객들이 왕릉출토 유물의 모든 면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됐다.

당시 무령왕릉 발굴당시를 설명하면 연도에는 왕과 왕비의 지석(誌石) 2매가 가지런히 놓여있었으며, 그 위에는 오수전 한 꾸러미가 얹혀 있었다고 한다. 지석 뒤에는 석수가 남쪽을 향하여 서 있었고 묘실의 관대 위에는 왕과 왕비의 목관재가 가득 놓여 있었다.
▲ 전시실에 있는 무령왕릉 모형
©2005 HelloDD com
목관의 판재들 밑에서는 왕과 왕비가 착장했던 장신구류와 부장유물이 있다. 중요 장신구류로는 금제관식, 금제이식, 금은제허리띠, 금동제신발, 금제팔찌 등이 있고 왕의 허리에서는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용봉문환두대도가 있었다.

그 밖에 왕과 왕비의 두침 및 족좌가 목관 안에 놓여 있었고, 그 외의 중요 부장품으로는 청동거울 3면과 동탁은잔 등이 출토되었다.

제2전시실인 웅진문화실에는 백제 웅진시기를 전후하여 이 지역에서 이루어진 주거, 무덤, 성과, 대외교류관련 자료들을 전시하여 백제문화의 특성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천안 용원리, 공주 송산리고분, 공산성 출토품 등 총 130여점이 전시되어 있어 명실공히 백제를 대표하는 박물관으로 손색이 없다.

특히 최근 높은 관심 속에 발굴되어 4~5세기 무렵 공주지역 지방세력의 존재를 밝혀준 공주 수촌리 백제고분 출토품과 통일신라 이후 이 지역의 백제 전통을 보여주는 계유명천불시상 등 불교미술품도 함께 전시됐다.

전시실을 둘러본 후 1층 로비에 마련된 체험관으로 가면 백제유물(모형)을 직접 만져보고, 탁본도 해볼 수 있다. 박물관을 나와 야외전시장으로 가면 공주시 반죽동의 대통사지에 있었던 대통사지석조와 웅진동 서혈사지의 석조여래좌상 등 70여점의 석조미술품도 볼 수 있다.
▲ 체험관 전경
©2005 HelloDD com
야외 전시관을 지나면 체험학습장으로 가면 약용·식용 식물, 산야초, 야생화, 습지식물 등을 보면서 휴식을 취할 수도 있다.

이밖에 공주박물관 주변에는 다양한 문화 유적지가 있다. 대표적으로 공산성, 무령왕릉이 박물관 주변에 가깝게 있어 함께 둘러보면 더 재미가 솔솔하다.

▲ 체험실
©2005 HelloDD com

▲ 체험교실 전경
©2005 HelloDD com

▲ 1전시관 내부
©2005 HelloDD com

▲ 지역유물들
©2005 HelloDD com

▲ 제1전시실
©2005 HelloDD com

▲ 전시실 내부
©2005 HelloDD com

▲ 3D영상 시스템
©2005 HelloDD com

[박물관 이용안내] 관람시간 : 09:00 ~ 18:00 (매표마감 : 17:00) / 토, 일, 공휴일은 1시간씩 연장
요금 : 일반 25세 ~ 64세 400원
할인 19세 ~ 24세 / 30인 이상 단체 200원
무료 18세 이하, 65세 이상 / 매월 첫 번째 일요일
휴관일 : 매주 월요일 / 매년 1월 1일
편의시설 : 뮤지엄숍, 식당, 야외체험학습장, 휴게실, 문화재정보검색대, 야외공연장,
강당(220석), 세미나실, 영상실
주차장 : 승용차 64대, 버스 22대
대덕넷 최윤석  기자 wind@hellodd.com
2005년 4월 14일

 
가져온 곳: [유아독존]  글쓴이: 지미니아빠 바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