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부자의 인생
- 행복
- 성공의 선택
- 부자의 땅
- 신삼강오륜
- 아름다운 세상
- 인재난
- 온고지신
- 새로운 삶
- 부자의 세계
- P세대
- 부자
- 성공
- 경제의 힘
- 부자의 길
- 돈과 여자
- 10년 경험
- 부자의 삶
- 성공의 길
- 상선약수
- 부자의 약속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신오복
- 새로운 도전
- 한국인의 저력
- 아름다운 꽃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성공의 지혜
- 성난 황소의 돌진
- 직업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읽고 ㅆ는 힘 본문
[만물상]‘읽고 쓰는 힘’
![](http://image.chosun.com/common/200410/sys/ico_blog.gif)
|
▶일본의 저널리스트 다치바나 다카시(立花隆)는 도쿄대 교양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
면서 사정이 이렇게 된 이유를 깨달았다. 도쿄대 학생들 중 강의에서 참고서적을 한 권
이라도 읽는 학생은 100명 중 두어 명에 지나지 않았다. 나머지는 모두 강의 내용을 그
대로 외우는 식이었다. 기말시험 답안지를 보니 오자(誤字)에 문법을 무시하고 의미가
확실하지 않은 비문(非文)투성이였다. 원인은 ‘읽고 쓰는 능력’(literacy)을 기본으로 하
는 교양교육의 붕괴였다. 국립대학 중 유일하게 교양학부가 남아 있는 도쿄대가 이 지경
이라면 일본의 장래는 볼 것도 없는 것 아닌가. 다치바나의 ‘일본 지적 망국론’은 그렇게
해서 나왔다.
▶우리 입장에서 볼 때 다치바나의 한탄은 배부른 엄살의 측면이 있다. 우선 한국의 공
공도서관은 400개인 데 비해 일본의 공공도서관은 2700여개에 달한다. 국민 1인당 장서
수는 일본이 3권인데 한국은 0.47권에 불과하다. 한국은 2만여 출판사 가운데 1년에 100
권 이상의 신간을 내는 곳이 16곳이고 일본은 147개사에 이른다.
▶일본의 여야 의원 286명이 ‘문자·활자 문화진흥법안 요강’을 만들어 일본인들의 활자
이탈 현상에 대처하기로 했다. 인터넷 보급과 게임문화 확산으로 국민들의 읽기·쓰기 능
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있으므로 공공도서관을 늘리고, 외국 출판물 번역을 국가가 지
원하는 등 여러 방법을 동원해 해결해 보자는 것이다. ‘문자·활자의 날’을 제정하자는 안
도 포함돼 있다.
▶인간이 지닌 지적 능력의 기본은 언어 능력에 있고, ‘읽기’와 ‘쓰기’는 언어 능력의 핵
심이다. 그것을 기르는 것은 법령 이전의 문제이긴 하지만 이렇게 해서라도 국민들의 읽
고 쓰는 힘을 유지하려는 일본 정치인들의 발상이 새롭다. 언제부턴가 우리 주변에선 남
의 글을 읽고 나만의 글을 쓰는 훈련이 사라져 가고 있다. 문제는 시선을 사로잡을 만한
잘 쓴 글, 재미있는 책이 드물다는 것이다. 인터넷이나 게임문화를 탓하기 앞서 활자의
매력을 극대화하는 일이 지금 우리에겐 더 시급한 일이다.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차 채권단 (0) | 2005.06.11 |
---|---|
[스크랩] [스크랩] 가슴에 담아 두고픈 좋은글 (0) | 2005.06.10 |
[스크랩] 들을줄 아는 지혜 (0) | 2005.06.09 |
부자되기 위한 50가지 행동수칙 (0) | 2005.06.09 |
[스크랩] 당신은 나의 쉼 (0) | 2005.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