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새로운 도전
- 아름다운 꽃
- 인재난
- 부자의 약속
- 온고지신
- 돈과 여자
- 성공의 선택
- 새로운 삶
- 경제의 힘
- 성공의 지혜
- 성공
- 신오복
- 부자
- 행복
- 성공의 길
- 부자의 인생
- 부자의 땅
- 부자의 삶
- 부자의 길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신삼강오륜
- 직업
- 부자의 세계
- 10년 경험
- 성난 황소의 돌진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P세대
- 한국인의 저력
- 아름다운 세상
- 상선약수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시민단체 전성시대 본문
[만물상] 시민단체 전성시대
|
▶프랑스 정치학자 토크빌은 1835년 미국
에 가보고 ‘프랑스에 정부가 있고, 독일에
계급이 있다면, 미국엔 협회(association)가
있다’고 썼다.
미국은 허허벌판에 마을을 세우고 농토를
가꾼 개척사회다.
믿을 거라곤 자기들뿐이었다.
지역(community) 단위 결사체(結社體)를
만들어 서로 돕는 ‘협회 전통’은 그때부터
생겨났다.
미국엔 160만개가 넘는 비영리 민간단체
가 있다.
성인 중 절반은 1주일에 3시간씩 자원봉사
를 한다.
▶한국만큼 시민단체 영향력이 큰 데도 없다.
무엇보다 한국의 비(非)정부기구(NGO)는
정부 권력을 맞상대한다.
몇 달 전 어느 시민운동가는 “NGO 간사는
중앙부처 국장급을, 사무총장이면 장관을
만난다”며 NGO의 권력화를 반성했다.
정부 위원회 자리는 시민단체 몫이고,
시민단체 사람이 어느날 갑자기 권력부서
에 가 있는 것도 흔히 보는 일이다.
남북 통일축구 입장권이 시민단체들에 돌아
가는 것마저 썩 어색하게 들리지 않는
세상이다.
어제는 중앙인사위원회가 정부부처 개방직
을 뽑을 때 시민단체 활동을 경력으로 인정
하겠다고 밝혔다.
▶작년 3월 환경단체 회원들은 일제히
어느날 어느 장소로 모이라는 문자메시지
를 받았다.
탄핵반대 시위에 참가하라고 소속 단체
들이 보낸 것이었다.
회원들이 “우리가 정치하자고 회비 낸 거냐”
고 항의하는 바람에 단체들은 곤욕을 치렀다.
한국의 시민단체는 너무 정치에 관심이 많고
권력과 가깝다.
이런 풍토에서 시민운동이 권력을 견제해
줄 거라고 기대하긴 어렵다.
▶많은 NGO 회원들은 다양한 사람과
만나고 사회에 기여해보자는 뜻에서
단체에 가입한다.
하지만 오늘의 시민단체엔 그런 시민회원
이 앉을 자리가 별로 없다.
오죽하면 ‘시민 없는 시민운동’이라는 말이
나돌까.
정치적 ‘특수시민’을 대변하는 시민단체
라면 스스로 ‘시민’이라는 이름을 빼야
한다.
말 없는 다수가 다양한 체험을 통해 자아
실현의 만족을 누릴 수 있는 그런 NGO라야
시민단체로 불릴 자격이 있다.
'성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말 소중한 것은... (0) | 2005.08.13 |
---|---|
[스크랩] 용서하는 마음으로 (0) | 2005.08.12 |
[스크랩] 이순신 장군 (0) | 2005.08.11 |
[스크랩] 마중물 그대 (0) | 2005.08.11 |
[스크랩] 이생강님의 트로트.. 대금과 째즈의만남 (0) | 2005.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