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신용교육 본문

성공

신용교육

신오덕 2006. 2. 23. 12:34

 

 

 

 

[이규태코너] 신용 교육

 


한양 종로에 깔려 있던 육의전(六矣廛)의 상인
 
사회에는 독특한 문화가 계승됐었다.
 
이를테면 아버지가 노후에 자식에게 단골손님
 
의 명부인 복첩(福帖)을 넘겨주는 것으로 가권
 
(家權)이 이양되었다.
 
 
이 복첩은 조상의 신주와 벽 높이 나란히 모셔
 
신격화했으며 그 단골손님 가운데는 3대, 5대,
 
7대를 내려 단골손님인 경우가 허다했다.
 
 
육의전의 규모가 크고 작고는 가게의 크기나
 
거래의 많고 적음으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얼
 
마나 오래된 단골손님을 어느 만큼 많이 보유
 
하고 있느냐, 즉 복첩의 두께로 가늠했다.
 
 
단골손님을 복인(福人)이라 했고 복첩이 두꺼
 
운 집의 돈을 복전(福錢)이라 하여 같은 값의
 
돈보다 항상 비싸게 쳤다.
 
 
육의전에서 신용을 복(福)이라 했으니 바로 육
 
의전에서의 신용의 위상을 그로써 짐작할 수
 
있다.

 

육의전에는 상인들이 공동으로 모시는 재신당

 

(財神堂)이 있었는데 그 제사가 있는 날 육의

 

전 상가의 자녀들에게 신용을 가르치는 행사

 

가 벌어졌었다.

 

 

신당 옆에 굵은 가지들이 뻗어 있는 아름드리

 

느티나무가 서 있었는데 아이들로 하여금 그

 

나무에 올라가 나뭇가지를 붙들고 늘어지게

 

한다.

 

 

그리고 가지 끝으로 조금씩 옮겨가도록 시킨

 

다.

 

 

그러는 동안 바지 끈이 느슨히 늘어져 바지가

 

벗겨지고 그것을 보고 행인들이 손가락질하며

 

비웃어도 손을 놓을 수 없다.

 

 

그리고 더 이상 갈 수 없는 가지 끝에 이르면

 

한 손을 놓으라 시킨다.

 

가혹한 시련이 아닐 수 없다.

 

이를 ‘복(福)가지타기’라 했는데 일단 복인을

 

잡으면 그 복인을 놓지 말기를 가지타기처럼

 

하라는 신용 교육이다.

 

 

어떤 고통도, 어떤 위험도, 또 어떤 창피도 무

 

릅쓰고 신용을 지키라는 전통교육인 셈이다.

 

이처럼 신용=행복이라는 등식이 어려서부터

 

주입됐어야 하는 데는 예나 지금이나 또 동서

 

양이 다를 것 없다.

 

 

한데 핵가족화로 부모로 하여금 과보호를 불

 

가피하게 한 데다 무형의 카드문화가 상승(相

 

乘)하여 자라나는 세대에게 신용감각을 무디

 

게 하여 카드 대란과 인간 파멸을 동시에 진행

 

시켜 왔다.

 

 

중·고등학교 때부터 신용교육을 강화하고 있

 

지만 뒤늦은 감이 있으며 초등학교, 아니 더

 

어릴 적부터 시켰으면 하는 바람이다.

 
 
 
 
입력 : 2006.02.07 19:56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