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부자
- 상선약수
- 신오복
- 10년 경험
- 신삼강오륜
- 성공의 지혜
- 아름다운 꽃
- 온고지신
- 부자의 삶
- 성공의 선택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부자의 세계
- 직업
- 부자의 땅
- 새로운 삶
- 행복
- 한국인의 저력
- 성공의 길
- 성난 황소의 돌진
- 인재난
- 경제의 힘
- 부자의 약속
- 새로운 도전
- 아름다운 세상
- 성공
- P세대
- 부자의 길
- 돈과 여자
- 부자의 인생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Archives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신용교육 본문
[이규태코너] 신용 교육
한양
종로에 깔려 있던 육의전(六矣廛)의 상인
사회에는 독특한 문화가 계승됐었다.
이를테면 아버지가 노후에 자식에게
단골손님
의 명부인 복첩(福帖)을 넘겨주는 것으로
가권
(家權)이 이양되었다.
이 복첩은 조상의 신주와 벽 높이 나란히 모셔
신격화했으며 그 단골손님 가운데는 3대, 5대,
7대를 내려 단골손님인 경우가 허다했다.
육의전의 규모가 크고 작고는 가게의 크기나
거래의 많고 적음으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얼
마나 오래된 단골손님을 어느 만큼 많이
보유
하고 있느냐, 즉 복첩의 두께로 가늠했다.
단골손님을 복인(福人)이라 했고 복첩이
두꺼
운 집의 돈을 복전(福錢)이라 하여 같은 값의
돈보다 항상 비싸게 쳤다.
육의전에서 신용을 복(福)이라 했으니 바로
육
의전에서의 신용의 위상을 그로써 짐작할 수
있다.
육의전에는 상인들이 공동으로 모시는 재신당
(財神堂)이 있었는데 그 제사가 있는 날 육의
전 상가의 자녀들에게 신용을 가르치는 행사
가 벌어졌었다.
신당 옆에 굵은 가지들이 뻗어 있는 아름드리
느티나무가 서 있었는데 아이들로 하여금 그
나무에 올라가 나뭇가지를 붙들고 늘어지게
한다.
그리고 가지 끝으로 조금씩 옮겨가도록 시킨
다.
그러는 동안 바지 끈이 느슨히 늘어져 바지가
벗겨지고 그것을 보고 행인들이 손가락질하며
비웃어도 손을 놓을 수 없다.
그리고 더 이상 갈 수 없는 가지 끝에 이르면
한 손을 놓으라 시킨다.
가혹한 시련이 아닐 수 없다.
이를 ‘복(福)가지타기’라 했는데 일단 복인을
잡으면 그 복인을 놓지 말기를 가지타기처럼
하라는 신용 교육이다.
어떤 고통도, 어떤 위험도, 또 어떤 창피도 무
릅쓰고 신용을 지키라는 전통교육인
셈이다.
이처럼 신용=행복이라는 등식이 어려서부터
주입됐어야 하는 데는 예나 지금이나 또 동서
양이 다를 것 없다.
한데 핵가족화로 부모로 하여금 과보호를 불
가피하게 한 데다 무형의 카드문화가 상승(相
乘)하여 자라나는 세대에게 신용감각을 무디
게 하여 카드 대란과 인간 파멸을 동시에 진행
시켜 왔다.
중·고등학교 때부터 신용교육을 강화하고 있
지만 뒤늦은 감이 있으며 초등학교, 아니 더
어릴 적부터 시켰으면 하는 바람이다.
입력 : 2006.02.07 19:56
00'
'성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은 내 운명 (0) | 2006.02.24 |
---|---|
[스크랩] 오늘의 꽃은 바로 당신입니다 ,,,,,,,,,,, (0) | 2006.02.23 |
72세 할머니 박사 도전 (0) | 2006.02.22 |
[스크랩] 로버트 라이시의 부유한 노예(The Future of Success) (0) | 2006.02.22 |
월급 170만원 즐거운 5인의 변호사들 (0) | 2006.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