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차와 술의 지혜 본문

부자

차와 술의 지혜

신오덕 2006. 5. 13. 22:17

 

 

[조용헌살롱] 茶酒論

 


▲ 조용헌
상극(相剋)의 관계지만, 둘
 
이 합쳐졌을 때 묘합(妙合)
 
을 이루는 식품이 있다.
 
돼지고기와 새우젓의 관계
 
가 그렇고, 차와 술의 관계
 
도 그렇다.
 
 
차를 마시면 정신이 각성되
 
는 효과가 있지만, 술은 취
 
하게 만든다.
 
서로 작용이 다르다.

 

 

1907년에 발견된 ‘돈황(敦煌) 문서’ 가운데 ‘다

 

주론(茶酒論)’이라는 문헌이 있다.

 

 

차와 술이 서로 논쟁을 벌이는 내용이다.

 

차: “나는 귀족과 제왕의 문을 출입하면서 평

 

생 귀한 대접을 받는 신분이다.”

 

 

술: “군신이 화합하는 것은 나의 공로다.”

 

차: “나는 부처님에게 공물로 쓰이지만, 너는

 

가정을 파괴하고 음욕을 돋우게 하는 악인이

 

다.”

 

 

술: “차는 아무리 마셔도 노래가 나오지 않고

 

춤도 나오지 않는다.

 

차는 위병의 원인이 된다.”

 

 

차와 술의 논쟁을 지켜보던 물(水)이 마침내

 

개입하여 둘을 뜯어말린다.

 

 

물: “다군(茶君)! 내가 없으면 너의 모습도 없

 

다.

 

주군(酒君)! 내가 없으면 너의 모습도 없다.

 

쌀과 누룩만을 먹으면 바로 배가 아파지고, 찻

 

잎을 그대로 먹으면 목을 해친다.

 

그러니 둘은 사이좋게 지내라.” 물이 없으면

 

술도 없고 차도 없다는 말이다.

 

 

이 ‘다주론’을 필자에게 이야기해준 사람은 순

 

천 선암사(仙巖寺) 밑에 사는 신광수(申珖秀

 

·56)씨다.

 

 

그는 수십 년간 차를 만들어온 차의 명인이다.

 

그가 만든 ‘승설차(勝雪茶)’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비싸게 팔리는 차다.

 

 

50g짜리 차 1통에 120만원을 받는다.

 

 

금값보다 비싸다는 차다. 춘분 무렵에 채취한

 

잎으로 만든 차인데, 그 두께가 매우 가늘고

 

은빛이 감돈다는 점이 특징이다.

 

 

신광수씨는 ‘다주론’의 신봉자답게 차뿐만 아

 

니라 술도 좋아한다.

 

 

그가 집에서 만들어 먹는 술은 십자장생주(十

 

子長生酒)다.

 

 

열 가지의 자(子)자 들어가는 약재를 발효시킨

 

술이다.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결명자, 차전자, 사상

 

자, 여정자, 충위자, 가채자, 토사자를 술과 꿀

 

에 버무려 항아리에 넣고 밀봉한다.

 

 

수개월 동안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보관하

 

다가 발효가 되면 35~40도 되는 소주를 부어

 

3~4년 숙성시킨 술이다.

 

 

평소에 “음주망국(飮酒亡國)이요, 음차흥국(飮

 

茶興國)”을 주장하던 나는 이 십자장생주의 맛

 

에 완전히 매료되어 버렸다.

 
 
 
입력 : 2006.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