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인재난
- 부자의 길
- 부자의 인생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한국인의 저력
- 성공
- 성공의 지혜
- 신오복
- 행복
- 부자의 땅
- 아름다운 꽃
- 돈과 여자
- 경제의 힘
- P세대
- 직업
- 상선약수
- 온고지신
- 새로운 삶
- 아름다운 세상
- 부자의 약속
- 신삼강오륜
- 성공의 선택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10년 경험
- 부자
- 성난 황소의 돌진
- 성공의 길
- 새로운 도전
- 부자의 세계
- 부자의 삶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유목민족과 농경민족 본문
[이덕일 사랑] 유목민족과 농경민족
|
또 서안(西安) 서쪽에 있는 무제의 무릉(茂陵) 표
지판에는 “그는 일개 민족에게 천추(千秋)의 자
신감을 주었다”라고 쓰여 있다.
농경민족인 한족(漢族)이 유목민족인 흉노와 동
이족을 꺾었다는 뜻이다.
이에 앞서 흉노의 황제 모돈(冒頓)은 기원전 201
년 한 고조(高祖) 유방(劉邦)을 백등(白登·현 산
서성 대동시 북부)에서 7일간 포위했으며, 기원
전 166년에는 장안(長安·현 서안) 감천궁(甘泉
宮)까지 진격했다.
그때마다 흉노는 막대한 전리품을 챙겼고, 한나
라는 연례행사처럼 흉노에게 많은 식량과 물품
들을 제공해야 했다.
그런데 한 무제가 그 콧대를 꺾었기에 그처럼 오
래도록 기념하는 것이다.
원하는 것 다 받고도 미사일로 답한 북한의 행태
는 전형적인 유목민족의 모습이다.
반면 달라는 것 다 주고도 뺨 맞은 한국은 농경
민족의 전형적 모습이다.
‘삼국지’ 고구려(高句麗)조는 “(고구려의) 좌식자
(坐食者·전사집단)는 하호(下戶)들이 멀리서 날
라다 바치는 양식·고기·소금 등을 받아먹고 산
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 동옥저(東沃沮)조는 “동옥저인들이 1000리나
되는 고구려까지 조세를 실어 나른다”고 전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고구려일 수는 있어도 어찌 동옥저
일 수야 있겠는가?
정부는 지난 지방선거의 민심을 헤아려 이번 사
태에 당당하게 대하기 바란다.
대한민국이 두려움에 떠는 농경민족이 아니라는
것이 지난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의 하나이
다.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재 털어 직원 자녀 어학 연수 (0) | 2006.07.10 |
---|---|
[스크랩] 홀로 마시는 그리움 한잔 (0) | 2006.07.10 |
[스크랩] 2006 독일 월드컵의 소용돌이 속에서...11. 뮌헨 님펜부르크궁전-둘, 이런 호화마차 보셨습니까? (0) | 2006.07.08 |
[스크랩] 히로시마 원폭투하 (0) | 2006.07.08 |
[스크랩] 기차와 부딪쳐도 안전한 차? (0) | 2006.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