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건설 사업의 기본조건은 자금 확보후 시공을 추진하는 것이다 본문

성공

건설 사업의 기본조건은 자금 확보후 시공을 추진하는 것이다

신오덕 2008. 8. 4. 16:40

 

[줌인] 자재값 뛰고 미분양 속출 전문-주택 건설사 부도공포에 떤다

헤럴드경제 | 기사입력 2008.08.04 13:15

 


생존권 위협 건설현장 르포

대형사앞에서 숨도 못쉬는 6만여 하청업체…
하루 2곳 이상 소리없이 사라져

전문건설업계

건설업계 전체가 우울하다. 침체된 주택시장에 원자재.유류 가격 상승까지. "그래도 (분양가를) 낮춰라.
 
살 것이다." 지적은 간단하지만 현실은 복잡하다. 내로라하는 대형 건설업체가 암울한 상황 앞에서 현기증을 느낀다.
 
하지만 비틀거리는 대형사 앞에 한숨소리조차 제대로 내지 못하는 업체가 있다. 소위 '하청 건설업체'로 불리는 6만여 개 이상의 전문건설업체 얘기다.

 
그들 앞의 현실은 팍팍하다.
 
2008년 들어서 하루 평균 두 개 업체가 쓰러져가고 있다.
 
공공건설의 원자재와 유가 상승으로 인한 추가 비용만 5700억원 이상, 민간 건설분까지 더한다면 액수는 배 이상으로 추정된다.

대한전문건설협회가 뽑은 전국 29개의 공공 공사현장에서는 60여 개의 업체가 공사 지연 혹은 중단 상태다.
 
최정기 대한전문건설협회 상임부회장은 "간신히 버티는 업체가 부지기수다.
 
이 상태로 계속 가다가는 올 하반기, 내년 상반기에는 훨씬 많은 수의 업체가 무너질 것으로 본다"고 우울한 전망을 내놨다.

더욱 심각한 상황은 전문건설업체의 위기가 단순한 현재의 시장 침체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데 있다.
 
일상적인 어려움에 현재의 위기가 더해진 것. 결국 설상가상, 엎친 데 덮친 상황이라고 업체 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T건설의 한 관계자는 "전문건설업체는 항상 어려웠다. 다만 현재의 건설경기 자체의 위기가 더해져 배, 세 배 이상으로 그 강도가 커진 것"이라고 전했다.

전문건설업체 관계자들은 입을 모아 "주종관계와 다를 바 없는 종합건설사와의 하도급 계약이 가장 큰 문제"라며 "현재의 업체 위기도 결국 종합건설사의 어려움이 고스란히 전가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결국 원도급과 하도급 관계의 건설계약에 의한 불공정한 관계, 이로 인해 위기가 가중된다는 것이다.
 
실제 전라남도에서 고속도로 건설 하도급 공사를 하고 있는 A건설은 유류가 인상으로 인해 덤프트럭과 굴착기 임대료 인상 요구에 직면하고 있지만 방도가 없는 상황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발주업체에 사정을 얘기해보지만 돌아오는 것은 알아서 해결하라는 답 뿐"이라고 전했다. '찍히면 죽는다'는, 숨조차 제대로 못 내는 상황에서 업체가 속앓이를 하는 것이다.

위기의 바람 앞에 꺼져가는 촛불 신세인 전문건설업체는 하도급업체 선정권을 원도급사(종합건설사)에서 공공기관이나 발주처가 갖는 CM 방식이나 주계약자형 공동도급 형태로 보장해 줄 것과 자재.유류대 인상분의 보전대책만을 목타게 갈구하고 있다.

은행 만기도래 PF 89兆자금 압박 가중… 9월 대란설까지 설상가상

주택건설업계

지난해 4월 말 영종지구에서 공동주택지를 낙찰받은 K사. 당시 17개 필지 공급에 총 382개사가 참여해 평균 22대1, 최고 59대1의 치열한 경쟁을 뚫고 땅을 낙찰받는 행운을 거머쥐었다.
 
하지만 1년 만에 상황은 반전됐다. PF(프로젝트 파이낸싱)가 되지 않아 낙찰받은 땅이 오히려 자금난을 심화시키는 '골칫거리'가 돼버렸기 때문.

이 같은 상황은 당시 영종지구에서 땅을 낙찰받은 17개 업체도 마찬가지다.
 
대부분 중견업체가 낙찰받았지만, 은행이 주택담보 부실 우려로 주택 부문 PF를 꺼리면서 처분도 하지 못하는 애물단지가 된 것. 또한 경기 남양주나 김포 양촌지구 등지에서 낙찰받은 업체도 비슷한 어려움을 겪으면서 시장에는 떠돌아다니는 매물이 수두룩한 상황이다.

올 하반기 800억원 정도의 회사채 만기가 돌아오는 J사도 걱정이 태산이다.
 
이 회사는 분양물량이 많지 않고 그나마 분양 중인 물건의 평가와 전망이 어두워 은행에서 마땅히 차환할 만한 뾰족한 방법이 없어 고심하고 있다.

경기침체 속 지방을 중심으로 미분양 물량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는 것.
 
13만가구에 달하는 미분양 등에 묶인 자금만도 40조원대. 여기에 만기가 되어 돌아오는 PF가 89조원. 준공 후 입주를 시작한 단지까지 잔금 회수가 안 되거나 아예 계약을 해지하는 경우가 늘면서 자금 압박은 더욱 가중될 것이 분명하다. 게다가 준공 후 잔금 미결제나 계약 해지는 건설업체가 잔금은 물론 중도금까지 은행에 물어야 해 자금난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 중견주택건설업체 CEO는 "신규 사업은 아예 엄두도 못 낸다.
 
은행이 신규 사업 PF를 사실상 중단하다시피 한 상황이어서 아주 괜찮은 프로젝트가 아니면 요즘에는 대형 건설사도 극히 일부를 빼면 PF 받기가 수월치 않다"고 전했다.

실제로 올 들어 용인에서 분양한 D사는 지난 7일 만기가 도래한 7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가까스로 차환해 위기를 간신히 넘겼다.
 
그나마 분양 단지가 우량하고 안정된 것으로 평가된 덕이다. 그러나 이런 경우는 흔치 않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건설업체가
분양가상한제를 앞두고 무턱대고 밀어내기식 분양을 하고 '정부가 해결해주겠지'하는 안이한 생각을 한 것도 위기를 가중시킨 요인"이라며 "하지만 무리한 분양가상한제 도입, 토공의 선수분양 등 제도적인 문제점을 시급히 개선하지 않으면 건설업체가 대거 부도 위기를 맞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부에서 9월 대란설 등이 나돌고 있는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생사의 갈림길에 선 주택건설업계의 목마름 현상은 갈수록 깊어질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