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경제성장에 맞춰 자신의 계획을 개선하라 본문

부자

경제성장에 맞춰 자신의 계획을 개선하라

신오덕 2014. 1. 9. 16:36

한은 "올해 성장률 전망 3.8% 유지…내년은 4.0%"(종합2보)

글씨 확대 글씨 축소

뉴스 기사
기사 이미지 연2.50%, 기준금리 8개월째 동결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9일 오전 서울 남대문로 한국은행 기자실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관련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2014.1.9 hihong@yna.co.kr
기사 이미지 새해 첫 금융통화위원회 개최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9일 오전 서울 남대문로 한국은행에서 열린 올해 첫 금융통화위원회에 참석해 자리로 향하고 있다. 2014.1.9 hihong@yna.co.kr
기사 이미지 <그래픽> 한국은행 경제 전망 (서울=연합뉴스) 김토일 기자 =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3.8%로 유지하면서 내년은 4.0%로 성장률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2.5%에서 2.3%로 하향조정했다. 내년은 2.8%로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kmtoil@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올해 물가 전망치는 2.5%→2.3%로 하향 조정
김중수 총재 "위기상황서 잠재성장률 수치 부정확"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박수윤 기자 =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3.8%로 유지하면서 내년은 4.0%로 성장률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2.5%에서 2.3%로 하향조정했다. 내년은 2.8%로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9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본회의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런 내용의 수정 전망치를 제시했다.

이번 수정치는 작년 10월 제시한 전망치와 비교할 때 성장률은 같고 소비자 물가는 종전보다 0.2%포인트 내린 수준이다.

김 총재는 물가 전망 하향 조정의 이유로 "지난 4분기에 농산물 값이 예상치 못하게 낮아 기저효과가 생겼다"며 기술적인 요인의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하반기에는 중기 물가안정목표(2.5%∼3.5%) 범위 안으로 올라설 것"이라며 물가안정목표는 3년간을 대상으로 한 중기 목표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한은은 내년 경제 전망치도 이번에 처음 제시했다.

내년 성장률은 4.0%,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8%로 전망했다.

김 총재는 잠재 성장률과 관련해서는 "과거 계산으로는 3%대 후반이고 구조적인 생산성 향상을 추진하면 약간 더 올리는 게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난 5년간 글로벌 금융위기 상황에 있던 만큼 최근의 잠재성장률 수치를 실증적으로 합당하게 제시할 만하지 못하다"며 "다만, 마이너스 국내총생산(GDP)갭이 연말까지는 사라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정상적인 경제 상황이 아닌 만큼 현 시점에서 산출하는 잠재성장률 수치는 부정확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한 설명이다.

앞서 정부는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을 계기로 잠재성장률 4%, 고용률 70%, 1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 시대를 열겠다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 추진 의지를 밝혔다.

김 총재는 향후 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부채 영향과 관련해서는 "금리가 0.5%포인트 오르면 채무상환비율(DSR)이 0.6%포인트 오른다는 분석이 있다"며 "소득 하위계층이 받을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이 계층의 소득이 더 늘어나도록 정책을 유도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나 정치권의 금리인하 압력설에 대해서는 "금통위가 의사결정을 할 때는 가능한 한 모든 사안을 고려하지만 특정 보고서나 특정 의견에 귀를 기울여 의사결정을 하지는 않는다"며 "'압력'은 생각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