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성공의 지혜
- 부자의 인생
- 부자의 길
- 인재난
- 새로운 도전
- 새로운 삶
- 아름다운 꽃
- 부자의 세계
- 아름다운 세상
- 행복
- 성공의 길
- 성난 황소의 돌진
- 온고지신
- 상선약수
- 부자의 땅
- 신삼강오륜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직업
- P세대
- 성공
- 부자의 약속
- 한국인의 저력
- 경제의 힘
- 성공의 선택
- 10년 경험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부자
- 부자의 삶
- 신오복
- 돈과 여자
Archives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훈련하고 실력을 향상시켜라 본문
[마해영 야구본색] 장종훈 "한화 떠나서 보니 김경언이 무섭더라" 출처 일간스포츠 입력 2015.07.02 07:02
[일간스포츠]
장종훈(47)은 한국 프로야구 최초의 '고졸 연습생 신화'를 썼다. 당시만 하더라도 육성(신고) 선수가 정식 선수로 등록되는 경우가 거의 드물었다. 1990년대 3년 연속 홈런왕에 오르는 등 각종 타격 부문에서 기록을 남긴 장종훈은 은퇴 후 한화 유니폼을 계속 입으며 코치의 길을 걸었다.
2015년, 장 코치는 29년간 정든 한화 유니폼을 벗었다. 그리고 롯데 타격코치로 옮겼다. 롯데는 팀 장타력이 눈에 띄게 향상되면서 장 코치의 지도 효과를 얻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마해영(45) 베이스볼긱 위원이 장종훈 코치를 만나 인터뷰했다.
마해영 베이스볼긱 위원(이하 마)="장종훈 코치님을 만나보겠습니다. 오랜만에 뵙는데 흰 머리가 많이 보이네요."
장종훈 코치(이하 장)="응, 코치 하면서 많이 생겼지. 반말해도 되는거지?"
마="네. 그럼요. 팀을 옮기는 결정을 하고 분위기가 어땠는지."
장="지난해 11월 마무리캠프 한 달은 한화와 같이 했지. 그런데 내가 29년간 입은 유니폼이 어색한거야. 같이 했던 코치들이 떠나고 나만 혼자 덩그러니 남아있어 미안한 것도 있었고. 김성근 감독님의 훈련량이 많다는 건 각오하고 있었고 또 할 수 있었어. 선수를 지도하는거니까. 다만 훈련 후 숙소로 돌아오면 '내가 계속 여기 있어야하나'라는 생각이 거의 한 달 동안 계속 들더라고."
마="기존 코치진이 반 정도 남았으면."
장="(그랬다면) 김성근 감독님 야구도 한 번 겪어봤겠지. (코치들이 떠난 게) 상당히 컸지. 내내 괴로웠었지."
마="새 유니폼 입었는데 처음부터 롯데로 간다는 생각을 하신 건가요."
장="이종운 롯데 감독한테 연락이 왔고. 첫째가 고 3이야. 아내는 집에서 아이를 좀 봐줬으면 하는 생각을 갖고 있더라고. 나도 미안하지. 고심 끝에 결정을 내렸고, 아내도 고맙게 오케이를 해줬고. 팀을 옮기는 것도 쉽지 않더라고."
마="롯데에서 연락 왔을 때 느낌은 어땠어요?"
장="일단 '한 번 가보자'는 생각이 많았던 것 같아. 주변에서도 새로운 곳에 가서 해보는 것을 권유했고. 처음에는 그런 것도 있더라고. 두려움. 거의 30년을 한화에서 있다 보니 다른 팀으로 옮겨서 적응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도 들고. 지난해 11~12월이 너무 힘들었어. 아내를 설득하고 이종운 감독한테 가겠다고 했는데도 계속 불안하더라고. 그 순간 마음이 편해질 줄 알았는데, 그때부터 또 걱정이야. 야구는 다 같다고 하지만 팀마다 특색이 다르잖아. 굉장히 두려운 마음이 컸었지."
마="지금은 어때요?"
장="좋아. 잘 왔다는 생각도 들고."
마="밖에서 처음으로 한화를 보시잖아요."
장="굉장히 끈끈해졌어. 쉽지가 않아. 나랑 있을 때와 팀 분위기가 다른 점도 있겠지만. 김경언은 같이 있을 때도 좋은 타자였지만 그렇게 무서운 타자였는지 몰랐어. 확실히 그런거 같아. 남의 떡이 커 보인다고. 다른 팀에서 보니까 그렇게 무서울 수가 없는 거야. 김태균은 말할 것도 없고."
마="한 시즌 홈런 40개 이상도 쳤고, 반면 부진한 시기도 있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 이렇게 했으면 하는 아쉬움 많죠?"
장="많지. 난 생각이 너무 많은 게 탈이었어. 생각이 너무 깊었어. 빙그레 시절 김영덕 감독도 '넌 생각이 너무 많다. 단순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했었는데 그게 쉽지가 않아. 사람 성향이라. 그 부분만 쉽게 했으면 선수 생활이 더 좋았을거야."
마="지금 생각해보면 선수 생활 다시 하라면 잘할 수 있는가?"
장="당연하지. 요즘 인프라가 엄청나다. 나 같으면 밤새도록 할 것이다. 선수들이 스스로 시간을 투자했으면 한다. 시키는 것은 소용없다. 혼자 연습할 때 하는 것이 실력이 많이 늘어난다. 하고 싶은 대로 해보고 스스로 느껴야 한다. 연습하다 막혀서 코치에게 와서 물어보면 그 선수에게 항상 눈길이 간다. 물론 성격 중에 그렇지 못한 선수도 있지만 자기 재주만 믿고 열심히 안 하는 선수에게는 눈길이 가지 않아. 그것도 선수가 하기 나름이다."
마="타격 코치 몇 년째인지요."
장="올해 10년차지."
마="초창기와 지금은 다르지 않나요."
장="선수를 지도하다 보면 코치들도 선수를 통해 배우는 것이 있잖아. 처음에는 의욕만 앞선 상태였어. 나는 내 방식을 주입하기보다는 선수들 생각을 중요시 여겨. 어떻게 보면 선수가 보는 게 정확할 수도 있으니까. 예전에는 "따라와" 하면 따라왔는데 지금은 자기가 싫으면 안 한다. 우리 때는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이 없었잖아. 지금은 유튜브를 통해 전 세계 선수를 체크하다 보니 쉽지가 않다. 이제는 강요해서는 안 된다는 걸 느꼈다. 옛날 방식으로는 안 된다."
마="지도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장="나는 일단 기본기를 봐. 잘하는 선수들의 준비 자세는 똑같다."
마="코치님도 히팅 포인트를 앞에 두라고 말씀하시는 스타일인가요."
장="그렇다."
마="다른 타격 코치는 뒤에 잡아놓고 치라 하지 않나요"
장="일단 중심은 뒤에 둬야 한다. 하지만 히팅포인트는 앞이다."
마="코치님 오신 뒤 롯데의 홈런이 늘어났어요. 선수들은 장 코치님 도움을 많이 받는다고 하는데 변화를 주신 겁니까?"
장="강민호나 손아섭은 자기 것이 있잖아. 크게 변화준 건 없고, '이 부분은 이렇게 했으면 좋겠다'고 조언을 한 정도."
마="올해 롯데는 어떤가요."
장="긍정적으로 본다. 얘기하기 좀 그렇지만 투타 밸런스가 안 맞다 보니 (팀 성적이) 조금 부진한 것 같아. 올 시즌엔 엇박자가 있었다."
마="시즌이 끝나면 동계 훈련이나 마무리 캠프라든지, 그때 선수들에게 지도할 부분에 대해 어떤 계획을 갖고 있나요?"
장="일단 마무리 캠프는 생각하고 있다. 1.5군을 데리고 가는데 일단 훈련 시간을 길게 잡으려 한다. 차별을 뒀으면 한다. 일부 선수들은 무리라고 생각될 만큼 훈련량을 많이 끌고 가고, 다른 선수들은 휴식도 좀 주고. 이건 내 생각이고 감독님과 상의를 해봐야 한다. 그런 큰 틀을 갖고 있다."
마="그럼 기술적인 큰 변화는 없나요?"
장="그런 것은 없다. 기본적인 얘기는 해줘야 하고 그 외에 부분은 서로 대화를 통해 의견을 주고 받는 게 중요하다고 본다. 그래야 신뢰도 쌓이고. 그게 중요하다. 선수하고 금이 가면 쉽지 않더라고."
장종훈(47)은 한국 프로야구 최초의 '고졸 연습생 신화'를 썼다. 당시만 하더라도 육성(신고) 선수가 정식 선수로 등록되는 경우가 거의 드물었다. 1990년대 3년 연속 홈런왕에 오르는 등 각종 타격 부문에서 기록을 남긴 장종훈은 은퇴 후 한화 유니폼을 계속 입으며 코치의 길을 걸었다.
2015년, 장 코치는 29년간 정든 한화 유니폼을 벗었다. 그리고 롯데 타격코치로 옮겼다. 롯데는 팀 장타력이 눈에 띄게 향상되면서 장 코치의 지도 효과를 얻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마해영(45) 베이스볼긱 위원이 장종훈 코치를 만나 인터뷰했다.
장종훈 코치(이하 장)="응, 코치 하면서 많이 생겼지. 반말해도 되는거지?"
마="네. 그럼요. 팀을 옮기는 결정을 하고 분위기가 어땠는지."
장="지난해 11월 마무리캠프 한 달은 한화와 같이 했지. 그런데 내가 29년간 입은 유니폼이 어색한거야. 같이 했던 코치들이 떠나고 나만 혼자 덩그러니 남아있어 미안한 것도 있었고. 김성근 감독님의 훈련량이 많다는 건 각오하고 있었고 또 할 수 있었어. 선수를 지도하는거니까. 다만 훈련 후 숙소로 돌아오면 '내가 계속 여기 있어야하나'라는 생각이 거의 한 달 동안 계속 들더라고."
마="기존 코치진이 반 정도 남았으면."
장="(그랬다면) 김성근 감독님 야구도 한 번 겪어봤겠지. (코치들이 떠난 게) 상당히 컸지. 내내 괴로웠었지."
마="새 유니폼 입었는데 처음부터 롯데로 간다는 생각을 하신 건가요."
장="이종운 롯데 감독한테 연락이 왔고. 첫째가 고 3이야. 아내는 집에서 아이를 좀 봐줬으면 하는 생각을 갖고 있더라고. 나도 미안하지. 고심 끝에 결정을 내렸고, 아내도 고맙게 오케이를 해줬고. 팀을 옮기는 것도 쉽지 않더라고."
마="롯데에서 연락 왔을 때 느낌은 어땠어요?"
장="일단 '한 번 가보자'는 생각이 많았던 것 같아. 주변에서도 새로운 곳에 가서 해보는 것을 권유했고. 처음에는 그런 것도 있더라고. 두려움. 거의 30년을 한화에서 있다 보니 다른 팀으로 옮겨서 적응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도 들고. 지난해 11~12월이 너무 힘들었어. 아내를 설득하고 이종운 감독한테 가겠다고 했는데도 계속 불안하더라고. 그 순간 마음이 편해질 줄 알았는데, 그때부터 또 걱정이야. 야구는 다 같다고 하지만 팀마다 특색이 다르잖아. 굉장히 두려운 마음이 컸었지."
마="지금은 어때요?"
장="좋아. 잘 왔다는 생각도 들고."
마="밖에서 처음으로 한화를 보시잖아요."
장="굉장히 끈끈해졌어. 쉽지가 않아. 나랑 있을 때와 팀 분위기가 다른 점도 있겠지만. 김경언은 같이 있을 때도 좋은 타자였지만 그렇게 무서운 타자였는지 몰랐어. 확실히 그런거 같아. 남의 떡이 커 보인다고. 다른 팀에서 보니까 그렇게 무서울 수가 없는 거야. 김태균은 말할 것도 없고."
마="한 시즌 홈런 40개 이상도 쳤고, 반면 부진한 시기도 있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 이렇게 했으면 하는 아쉬움 많죠?"
장="많지. 난 생각이 너무 많은 게 탈이었어. 생각이 너무 깊었어. 빙그레 시절 김영덕 감독도 '넌 생각이 너무 많다. 단순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했었는데 그게 쉽지가 않아. 사람 성향이라. 그 부분만 쉽게 했으면 선수 생활이 더 좋았을거야."
마="지금 생각해보면 선수 생활 다시 하라면 잘할 수 있는가?"
장="당연하지. 요즘 인프라가 엄청나다. 나 같으면 밤새도록 할 것이다. 선수들이 스스로 시간을 투자했으면 한다. 시키는 것은 소용없다. 혼자 연습할 때 하는 것이 실력이 많이 늘어난다. 하고 싶은 대로 해보고 스스로 느껴야 한다. 연습하다 막혀서 코치에게 와서 물어보면 그 선수에게 항상 눈길이 간다. 물론 성격 중에 그렇지 못한 선수도 있지만 자기 재주만 믿고 열심히 안 하는 선수에게는 눈길이 가지 않아. 그것도 선수가 하기 나름이다."
마="타격 코치 몇 년째인지요."
장="올해 10년차지."
마="초창기와 지금은 다르지 않나요."
장="선수를 지도하다 보면 코치들도 선수를 통해 배우는 것이 있잖아. 처음에는 의욕만 앞선 상태였어. 나는 내 방식을 주입하기보다는 선수들 생각을 중요시 여겨. 어떻게 보면 선수가 보는 게 정확할 수도 있으니까. 예전에는 "따라와" 하면 따라왔는데 지금은 자기가 싫으면 안 한다. 우리 때는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이 없었잖아. 지금은 유튜브를 통해 전 세계 선수를 체크하다 보니 쉽지가 않다. 이제는 강요해서는 안 된다는 걸 느꼈다. 옛날 방식으로는 안 된다."
마="지도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장="나는 일단 기본기를 봐. 잘하는 선수들의 준비 자세는 똑같다."
마="코치님도 히팅 포인트를 앞에 두라고 말씀하시는 스타일인가요."
장="그렇다."
마="다른 타격 코치는 뒤에 잡아놓고 치라 하지 않나요"
장="일단 중심은 뒤에 둬야 한다. 하지만 히팅포인트는 앞이다."
마="코치님 오신 뒤 롯데의 홈런이 늘어났어요. 선수들은 장 코치님 도움을 많이 받는다고 하는데 변화를 주신 겁니까?"
장="강민호나 손아섭은 자기 것이 있잖아. 크게 변화준 건 없고, '이 부분은 이렇게 했으면 좋겠다'고 조언을 한 정도."
마="올해 롯데는 어떤가요."
장="긍정적으로 본다. 얘기하기 좀 그렇지만 투타 밸런스가 안 맞다 보니 (팀 성적이) 조금 부진한 것 같아. 올 시즌엔 엇박자가 있었다."
마="시즌이 끝나면 동계 훈련이나 마무리 캠프라든지, 그때 선수들에게 지도할 부분에 대해 어떤 계획을 갖고 있나요?"
장="일단 마무리 캠프는 생각하고 있다. 1.5군을 데리고 가는데 일단 훈련 시간을 길게 잡으려 한다. 차별을 뒀으면 한다. 일부 선수들은 무리라고 생각될 만큼 훈련량을 많이 끌고 가고, 다른 선수들은 휴식도 좀 주고. 이건 내 생각이고 감독님과 상의를 해봐야 한다. 그런 큰 틀을 갖고 있다."
마="그럼 기술적인 큰 변화는 없나요?"
장="그런 것은 없다. 기본적인 얘기는 해줘야 하고 그 외에 부분은 서로 대화를 통해 의견을 주고 받는 게 중요하다고 본다. 그래야 신뢰도 쌓이고. 그게 중요하다. 선수하고 금이 가면 쉽지 않더라고."
'성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는 촉이 살아 있어야 한다 (0) | 2015.07.02 |
---|---|
사건을 신속하게 처리하라 (0) | 2015.07.02 |
비전을 만들고 추진하라 (0) | 2015.07.01 |
세스 휠러의 연구를 확인하고 새롭게 만들어라 (0) | 2015.07.01 |
정관자득으로 나아가라 (0) | 201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