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분쟁사태의 후폭풍을 확인하라 본문

부자

분쟁사태의 후폭풍을 확인하라

신오덕 2015. 8. 6. 12:15
[사설] 롯데, 뼈깎는 각오로 투명경영·지배구조개선 나서라
기사입력 2015.08.06 00:01:04 | 최종수정 2015.08.06 09:58:25
보내기

롯데그룹 형제간 경영권 분쟁사태의 후폭풍이 일파만파다. 황제경영, 복잡한 순환출자 등 문제점들이 터져나오면서 자칫 재계 전반에 대한 개혁 논의로 확산될 조짐이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어제 "재벌경제 체제는 더 이상 우리 경제의 원동력이 아니라 성장을 저해하는 구조적 원인"이라고 강조했다. 야당은 당분간 재벌개혁 화두에 집중할 태세다. 정부와 새누리당 역시 6일 정재찬 공정거래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롯데를 비롯한 대기업 지배구조 개선책을 논의한다. 국세청 공정위 금감원 등 경제검찰까지 총동원된 양상이다. 롯데 문제가 대기업 전체로 무리하게 확대될까 염려스럽다.

이번 롯데사태에서 드러난 문제점은 크게 세 가지다. 우선 총수의 독단적 결정이 이사회, 주주총회 등 공식 의결기구에 우선하는 황제경영의 문제점이다. 롯데는 특히 한·일 양국에 걸친 비밀 지배구조가 전근대적이고 불투명한 의사결정의 바탕이 됐다. 철저한 경영능력 검증을 통한 후계자 선정 시스템 확립도 과제로 떠올랐다. 두 번째는 과도한 순환출자 구조다. 신격호 롯데 총괄회장의 지분은 전체의 0.05%, 일가 지분을 다 합쳐도 2.41%에 불과하다. 그런데도 416개의 순환출자 고리를 통해 81개 계열사를 쥐락펴락했다. 신규 순환출자 금지 이후 삼성·현대 등은 순환출자 고리를 10개 내외로 축소한 반면 롯데는 아무런 개선 노력을 하지 않았다. 세 번째는 친인척이 간여하는 후진적 경영행태다. 이번 롯데사태에서는 지분이 전혀 없는 일가 친척들이 총출동해 형제간 분란을 부추겼다. 오너 일가라면 사돈의 팔촌까지 모두 한자리씩 차지하거나 일감 몰아주기 행태가 롯데에서는 유독 심했다. 롯데가 그룹 규모에 걸맞지 않게 투명경영·윤리경영에 뒤처져 있다는 지적도 롯데 경영진이 뼈아프게 받아들여야 할 대목이다.

롯데는 이번 사태를 투명경영 정착과 지배구조 개선의 기회로 삼아 환골탈태해야 한다. 빠른 속도로 국민의 눈높이에 오르지 못하면 글로벌 시대 낙오자가 되기 십상이다. 다만 이번 롯데사태가 대기업 때리기로 변질돼서는 곤란하다. 그동안 많은 재벌들이 투명경영 확대를 위해 노력해 왔고 최근에는 경제 살리기에 주력하고 있다. 기업 사기를 꺾고 경제를 위축시키는 정치권의 과도한 비난은 자제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