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생활물가지수를 보고 나아가라 본문

부자

생활물가지수를 보고 나아가라

신오덕 2016. 3. 3. 08:37

2월 소비자물가 1.3%↑..신선식품 상승폭 3년 만에 최고(2보)

연합뉴스|입력2016.03.03. 08:15|수정2016.03.03. 08:15

 

(세종=연합뉴스) 김동호 김수현 기자 = 연초 다시 0%대로 떨어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만에 1%대로 복귀했다.

생활물가와 신선식품 가격이 큰 폭으로 뛴데다 서비스물가 상승률이 높은 수준을 유지한 영향이 컸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3% 올랐다.

2014년 12월부터 11개월째 0%대를 지속하다 작년 11월(1.0%)과 12월(1.3%) 1%대로 올라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 1월 다시 0%대로 내려갔지만 지난달 1%대를 회복했다.

서울 한 대형마트 채소 코너에서 시민들이 물건을 고르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한 대형마트 채소 코너에서 시민들이 물건을 고르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유가 하락 폭이 줄어 석유류 제품 가격은 1년 전보다 8.0% 감소하며 하락 폭이 축소되는 모습을 보였다. 전체 물가상승률에서는 -0.32%포인트의 기여도를 보였다.

서비스물가 상승폭은 2012년 1월(2.5%)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았던 1월과 마찬 가지로 2.4%를 나타냈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1.8%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2.0% 상승했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0.9% 올랐다. 2014년 7월(1.4%) 이후 19개월 만에 최고치다.

신선식품지수는 9.7% 올라 2013년 1월(10.5%) 이후 37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나타냈다.

 

우영제 통계청 물가통계과장은 "석유류 가격 하락폭이 축소된데다 지난달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 서비스 가격 상승 등의 영향이 컸다"고 2월 소비자물가의 상승률 확대 배경을 설명했다.

우 과장은 "농축수산물은 지난달 한파와 폭설로 공급이 줄고 설이 끼면서 수요는 늘고 조업 일수가 줄어든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했고 "서비스는 전세, 시내버스요금 중심으로 가격이 올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