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기술 수준을 알고 나아가라 본문

성공

기술 수준을 알고 나아가라

신오덕 2017. 2. 2. 11:02

[매경춘추] 4차 산업혁명의 기회

 

 

생산성본부는 지난해 최고경영자(CEO) 200여 명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토론회를 10여 차례 가졌다.

 

그들의 반응은 충격 그 자체였다. 우리나라는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이 늦어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따라잡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이 같은 사실은 연초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에서도 확인됐다.

 

인공지능(AI) 비서를 통해 쇼핑하고 자동차를 자율 운전하는 기술은 현실화됐다.

 

참가기업 33%가 중국 기업, 그 대부분이 중소벤처로 완전히 중국판이었다.

 

클라우스 슈바프가 강조한 것처럼 `기업 간 협력 강화를 위한 생태계 조성`이 이미 이루어지고 있었다. 한국은 삼성, LG 등 소수 대기업에만 의존할 뿐 하부가 빈약하다.

4차 산업혁명은 산업의 경계를 허물고 있고, 상상할 수도 없었던 비즈니스를 가능하게 해 경쟁 패러다임을 송두리째 흔들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 변화에 우리가 뒤처지고 있다는 얘기다.

다행히도 정보통신기술(ICT)과 소프트웨어 분야는 사업화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민간투자와 해외특허 취득이 괄목할 만한 수준으로 마냥 비관적이지는 않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걱정이 앞선다. 인공지능은 인식, 운동, 언어이해의 3가지 기술로 구성된다.

 

이 분야 권위자인 마쓰오 유타카 도쿄대 교수는 한국의 `인식계 기술`이 미국에 크게 뒤처졌다고 지적한다.

마쓰오 유타카 교수에 따르면 인공지능은 무한한 기회의 땅이다. 한국은 다행히 로봇 등 `운동계 기술`은 괜찮은 편이므로 제조기반의 산업특성을 잘 살려 따라잡으면 된다. 첨단기술을 보유한 외국 기업을 사들이는 것도 해법일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은 기술 변화의 속도가 빠른 만큼 대기업보다는 중소벤처기업이 대응하기 쉽다.

 

하지만 이들은 기술개발을 위한 투자 환경이 여의치 않아 자생적으로는 빠른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

 

정부는 중소벤처기업 쪽으로 투자자금이 원활히 흘러갈 수 있도록 규제를 풀어줘야 한다. 또한 우수한 인력이 창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정부는 올해 4차 산업혁명을 총괄 관리하는 민관 합동 `전략위원회`를 구성한다고 한다.

 

슈바프가 4차 산업혁명을 소개한 것이 1년 전 다보스포럼인데 대응이 늦었다. 대통령 탄핵과 선거전이 치열하더라도 4차 산업혁명 열차를 놓쳐선 안 된다.

[홍순직 한국생산성본부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