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20일간의 힘으로 나아가라 본문

성공

20일간의 힘으로 나아가라

신오덕 2017. 2. 2. 09:04

반기문 불출마로 '빅텐트' 날라가고 '스몰텐트'만 남나

박응진 기자입력 2017.02.02 08:30댓글 1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1일 전격적인 대선 불출마 선언으로 제3지대에 기둥이 꽂혔던 '빅텐트'가 채 완성도 되기 전에 사그라들 가능성이 나온다.<br>당초 반 전 총장이 여야를 넘나들며 빅텐트를 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br>하지만 반 전 총장의 부재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간 연대가 아닌 이상 여야를 아우르는 빅텐트의 구성은 쉽지 않아 보인다.

 

국민의당·손학규 등 개혁 기치 아래 연대 추진 중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1일 전격적인 대선 불출마 선언으로 제3지대에 기둥이 꽂혔던 '빅텐트'가 채 완성도 되기 전에 사그라들 가능성이 나온다.

당초 반 전 총장이 여야를 넘나들며 빅텐트를 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이런 이유로 국민의당도 반 전 총장과 거리를 두면서도 그와의 연대 가능성을 원천봉쇄하지는 않았었다.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 반 전 총장, 국민의당 후보가 대립하면 중도표를 반 전 총장과 나눠갖는 꼴이 되기 때문에 국민의당 입장에서는 3자 구도를 가장 경계했다. 이를 해소할 방법은 빅텐트밖에 없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국민의당 의원 중 30명 정도가 반 전 총장과의 연대에 긍정적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반 전 총장의 부재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간 연대가 아닌 이상 여야를 아우르는 빅텐트의 구성은 쉽지 않아 보인다.

앞서 국민의당은 자당이 곧 제3지대라며 일찍이 플랫폼정당을 지향하고 나섰다. 국민의당은 손학규 의장이 이끄는 국민주권개혁회의, 국무총리를 지낸 정운찬 동반성장포럼 이사장 등과 함께 개혁 연대를 구축하고 있다.

이들이 텐트를 치는 명분은 개혁이다.

즉각 개헌 추진을 당론으로 삼아 개헌에 소극적인 문 전 대표, 민주당과의 차별화도 시도했지만 현실적으로 대선 전 개헌이 힘들다는 점 등으로 인해 개헌보다는 개혁에 방점을 찍고 있다. 현재 개헌 논의는 국회 내 개헌특위에서 이뤄지고 있기도 하다.

국민의당 대선기획단장으로 임명된 김영환 최고위원은 1일 "개혁이 밥 먹여주느냐는 것은 잘못된 말이다. 그러나 밥을 먹여주는 게 개혁이라는 것은 옳은 말"이라며 "먹고 사는 것과 개혁은 출발점이 같다"고 강조했다.

차기 정부 임기 초 각종 개혁을 강하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이번 대선에 결선투표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기도 하다. 종종 친문 패권주의도 척결 대상으로 거론한다.

정계복귀와 함께 민주당을 탈당, 개헌을 고리로 제3지대 안착을 시도했던 손 의장도 최근에는 개혁세력 규합을 외치고 있다.

손 의장은 1일 MBN '뉴스앤이슈'에 출연해 "(개헌을 통한) 7공화국이 본질인데, 그냥 대통령 임기 끝났으니 현재 대통령 제도로 그냥 하겠다, 이것은 개혁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최근 정치권에서 "요즘 국민의당이 치는 텐트의 목적이 무엇인지 의문"이라는 견제성 발언들이 나오고 있다.

문 전 대표가 대선 결선투표제와 개헌 등에 관해 원칙적으로 동의하고 있고, 민주당 또한 개혁입법에 열을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차별성을 부각하지 못한 이유가 큰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의 텐트가 스몰텐트일 뿐만 아니라 반문 연대에 지나지 않는다는 프레임에 갇히기 않기 위해서는 문 전 대표 및 민주당과의 차별성을 보이면서 나름의 명분을 쌓는 게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보수층으로의 외연 확대도 필요해 보인다.

문 전 대표가 지난달 31일 서울 여의도의 한 카페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반문 연대와 제3지대 움직임은 결국은 정권교체를 반대하는 연대"라고 반응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다만 국민의당은 이 같은 시각에 손사래를 친다. 박지원 대표는 1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반문 연대를 구상한 적 없고, 논의한 적도 없기 때문에 객관화할 수 없다"고 받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