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세종=정현수 기자] [(상보)근로장려금 개편방안 발표]
정부는 18일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근로장려금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근로장려금은 세금 환급 형태로 소득을 지원해주는 제도다. 기본 방향은 소득여건 완화와 최대 지급액 확대다. 단독가구의 근로장려금 소득요건은 1300만원 미만에서 2000만원 미만으로 확대된다. 홑벌이는 2100만원 미만에서 3000만원 미만으로 바뀐다. 맞벌이는 2500만원 미만에서 3600만원으로 완화한다. 최대지급액은 단독가구의 경우 85만원에서 150만원으로 인상한다. 홑벌이와 맞벌이의 최대지급액은 260만원, 300만원으로 각각 60만원, 50만원 늘렸다. 연령요건은 30세 미만 단독가구를 포함시켰다. 지금까지는 30세 미만 단독가구를 배제했다. 재산요건은 가구당 1억4000만원 미만에서 2억원 미만으로 변경했다. 지급방식은 연 1회 지급에서 반기별 지급으로 개편했다. 이에 따라 근로장려금의 지급규모는 334만 가구에 3조8000억원이 된다. 지금까지는 166만가구에 1조2000억원을 지급했다.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신삼강오륜
- 부자의 약속
- 성공
- 성공의 지혜
- 부자의 인생
- 새로운 삶
- 성공의 길
- 10년 경험
- 한국인의 저력
- P세대
- 행복
- 아름다운 세상
- 돈과 여자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직업
- 부자의 땅
- 부자의 세계
- 경제의 힘
- 성난 황소의 돌진
- 아름다운 꽃
- 상선약수
- 부자의 길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부자
- 신오복
- 성공의 선택
- 부자의 삶
- 온고지신
- 새로운 도전
- 인재난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근로장려금을 받는 대상자를 확인한다 본문
근로장려금 334만가구에 3.8조..지급총액 3배 이상으로 확대(2보)
입력 2018.07.18. 11:12
정부가 근로장려세제(EITC)를 개편해 내년부터 334만가구에 3조8천억원의 근로장려금을 지급한다.
근로장려금 지급 10년째를 맞아 지급대상은 2배로, 규모는 3배 이상으로 대폭 확대한다.
개편안에 따르면 정부는 단독·맞벌이·홑벌이 가구별로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는 재산과 소득요건을 대폭 완화하고 최대지급액을 인상한다.
168만 가구에 2조6천억원을 추가 지급해 지급대상은 2배로, 규모는 3배 이상으로 키우는 것이다.
(세종=연합뉴스) 이 율 기자 = 정부가 근로장려세제(EITC)를 개편해 내년부터 334만가구에 3조8천억원의 근로장려금을 지급한다.
근로장려금 지급 10년째를 맞아 지급대상은 2배로, 규모는 3배 이상으로 대폭 확대한다.
정부는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근로장려세제 개편방안'을 확정·발표했다. 정부는 이달 말 세제발전심의위원회를 거쳐, 내달 정기국회에 제출한다.
개편안에 따르면 정부는 단독·맞벌이·홑벌이 가구별로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는 재산과 소득요건을 대폭 완화하고 최대지급액을 인상한다.
이에 따라 지급대상은 지난해 기준 166만 가구에서 내년 334만 가구로 대대적으로 확대한다. 지급규모도 1조2천억원에서 3조8천억원으로 늘어난다.
168만 가구에 2조6천억원을 추가 지급해 지급대상은 2배로, 규모는 3배 이상으로 키우는 것이다.
단독가구는 연간소득 2천만원 미만, 홑벌이가구는 연 소득 3천만원 미만, 맞벌이가구는 연 소득 3천600만원 미만이면서 재산 2억원 미만이면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근로장려금 맞벌이에 최대 300만원…3.8조원 푼다
머니투데이 원문 기사전송 2018-07-18 11:28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패션연구소가 분석한 자료를 알고 대응한다 (0) | 2018.07.20 |
---|---|
장사 인건비를 알고 나아간다 (0) | 2018.07.19 |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알고 확인한다 (0) | 2018.07.16 |
소상공인 연합회의 주장을 알고 확인한다 (0) | 2018.07.13 |
즉시연금을 알고 움직인다 (0) | 2018.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