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새로운 도전
- 돈과 여자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부자
- 행복
- 성난 황소의 돌진
- 부자의 삶
- 직업
- 부자의 세계
- 성공의 선택
- 성공의 지혜
- 아름다운 꽃
- 아름다운 세상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부자의 인생
- 한국인의 저력
- 부자의 길
- P세대
- 부자의 약속
- 새로운 삶
- 성공
- 부자의 땅
- 경제의 힘
- 10년 경험
- 상선약수
- 인재난
- 신오복
- 온고지신
- 신삼강오륜
- 성공의 길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스크랩] 수치화의 중요성 본문
인간이란
자기가 오랫동안 상상해 왔던 그대로의 인간이 되기 쉽다고 한다.
뒤집어 말하면 자기에게는 얼마만큼의 능력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만한 능력을 가진 인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신이 상상한 대로의 자기가 된다는 말이다.
- EQ적 생활법 / 노만 빈센트 필 -
수치화의 중요성
부산공장을 책임지시는 임원께선 언제나
그 분의 개인적인 목표 한 가지를 사무실 벽에 붙이고 계시다.
요즘은 비만도가 높아져서 '100일 감량 달성'이라는 목표가 붙여져
있는데,
직원들의 이야기로는 목표대로 실천을 하시는 경우가 별로 없다는 것이었다.
확대일로에 있는 영업력을 감당하려니 술자리도 잦아지고 대부분의 저녁식사를
고객과 함께 하다보니 나름대로 좋은 음식을 섭취하는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도하는 것은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계시기에
어렵더라도 늘 노력하시는 것이었다.
작은 시도로도 뜻하지 않은 효과를 지금까지 많이 체험하셨기
때문이다.
습관을 바꾸는 것은 처음에는 당연히 불편하고 고통스럽다.
하지만 습관을 바꾸기를 두려워하는 이면에는 그
변화를 완성하는 기간이
얼마나 걸리는지를 모르기 때문에 아예 시도조차 하지 못하고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
심리학자들이 새로운 습관을 개발하는 데 얼마나 걸리는지를 실험한 결과를 보면 흥미있다.
새 습관이 형성되는 속도는
특정 방식의 행동을 결심하게 한 감정의 깊이와 농도에 따라 결정된다.
우리 임원분처럼 다이어트를 위해 음식을 조절하고
운동을 하는 습관으로 바꾸도록 한다고 가정하면
이 과정으로 안착시키기에는 매우 오래 걸릴 수도 있다.
그런데 어느 날 의사가 살을 빼지 않으면 몇 개월 이내에 죽는다고 경고한다.
자신이 죽을 것이라는 강렬한 자극은 즉각 다이어트와
운동을 시작하여
날씬한 사람이 되도록 해준다.
심리학자들은 이것을 '중요한 감정적 경험(SEE : significant emotional
experience)'이라고 한다.
한 번의 자극이라도 그것이 충격적일수록 평생 지속되는 습관을 만들어낼 수 있다.
딸아이가 말도 하지 못하는 어린 시기에 전기밥솥의
스팀배출구에서
하얗게 김이 나오는 것을 보고 호기심에 손을 얹었다가 데인 적이 있다.
이후로는 한 번도 하얀 김이 나오면 조심하게
되었다.
불과 1초도 걸리지 않는 경험으로 평생습관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갑자기 형성된 습관도 영원히 계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는 개인의 의지 차이보다 건강에 적신호를 감지하고서 금연을 시도하는 사람이
건강한 사람에 비해서 성공률이 높은 이유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일찍 일어나기, 아침운동하기, 다이어트를 하겠다던지 금연을 하겠다던지와 같은
대부분의 일상은 습관의 강도가 충격적이지 않고 미지근하다.
그러면 이러한 중간정도의 일상습관을 바꾸는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나
걸릴까.
결론적으로 실험에 따르면
중간정도의 복잡성을 띤 습관을 형성하는 데는 14 ~ 21일 정도가 걸린다.
예를 들면 오른손잡이가 왼손으로 글씨를 쓴다던가 손깎지를 반대로 끼우기 등 평소습관과
다르게 시도할 경우 부자연스럽지 않고 자연스러운 상태로 습관화되기까지 걸리는 시일을 말한다.
바꾸어 말하면 일상생활의 나쁜 습관을 고치려고 시도를 한다면 21일, 즉 3주만 지속적으로
시도하면 그 다음부터는 아무런 거부감 없이 일상생활로 다가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실험결과로 인해 금연 프로그램, 다이어트 프로그램과 같은 자기변화 이벤트를
추진하는 업체에서는 주로 '3주 완성 프로그램'으로 짜여지는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습관을 바꾸기가 막연하여 시도하기 두려웠겠지만 '3주'라는 기간만 참으면 된다고 한다면
많은 이들이 불편을 감수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시도해보고 싶은 사람이 많을 것이다.
어떤 현상을 감성에만 의지하지
않고 이성적으로 목표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수치화하려는 판단기능은 조직이나 개인의 발전에 많은 도움을 준다.
사실 날이 갈수록 숫자를 다루는 업종이 번성기를 누리고 있고,
수치화를 잘 유도해 내는 사람이 성공하는 세상이다.
한 나라가 산업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어느 시점에서부터는 컨설팅과 같은 업종이
새로이 뜨고 있는 이유도 바로 그것이다.
아무튼 이제부터는 다소 어렵게 느껴졌던 시도도 다시 해볼 일이다.
2005. 5. 11. 율빈
'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무언가를 나눌수 있는 ㅁㅏ음◇/좋은생각中 (0) | 2005.05.21 |
---|---|
[스크랩] 그대로인한 나의 행복 (0) | 2005.05.21 |
[스크랩] [영화이야기] 킹덤 오브 헤븐 (0) | 2005.05.19 |
예술인 척하는 예술 (0) | 2005.05.18 |
[스크랩] 만원의 행복 (0) | 2005.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