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성공의 지혜
- 신삼강오륜
- 경제의 힘
- 인재난
- 성난 황소의 돌진
- 신오복
- 직업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부자의 땅
- 10년 경험
- 새로운 삶
- 성공의 선택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부자의 인생
- 아름다운 꽃
- 성공의 길
- 온고지신
- 부자의 삶
- 아름다운 세상
- 행복
- P세대
- 한국인의 저력
- 새로운 도전
- 부자의 약속
- 돈과 여자
- 상선약수
- 성공
- 부자의 길
- 부자
- 부자의 세계
Archives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부자는 8억원+8억원을 투자하면 행복합니다 본문
입력 : 2007.02.12 17:55
근로소득자들이 은퇴후 원하는 생활비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균 8억1천만원이 필요하며, 현재 보유자산으로 은퇴후 생활비 마련에 충분한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가계는 전체 근로소득자의 3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소현 삼성금융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오는 13∼14일 열리는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에 앞서 12일 배포된 ‘근로소득자의 은퇴준비 현황과 은퇴소득 충분성’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주 연구원은 지난해 5∼7월 삼성금융연구소가 전국 7대 도시 4천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가계금융이용행태 조사결과를 토대로 은퇴전인 근로소득자들의 은퇴준비 현황 등을 분석했다.
근로소득자는 가구주를 기준으로 전문직을 제외한 관리직, 사무직, 판매직, 생산직 등을 포함했으며 총 2천147가구로 전체 조사대상의 54%를 차지했다.
조사결과 근로소득자들이 예상하는 은퇴연령은 평균 60세, 은퇴후 월평균 생활비는 현재가치로 약 197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은퇴 희망연령은 56∼60세가 45%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세 이하는 10%, 65세 이상은 9% 등이었다.
월평균 예상생활비는 151만∼200만원이 34%로 가장 많았고 이어 ▲101만∼150만원 22% ▲100만원 이하 18% ▲251만원 이상 17% ▲201만∼250만원 8% 등의 순이었다.
주 연구원은 이를 토대로 근로소득자가 예상하는 은퇴후 월평균 생활비 수준을 은퇴 시점(인플레 4%, 수익률 6%가정)으로 환산하면 평균 8억1천71만원이 필요하며 국민연금 제외시 6억7천758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했다.
그는 이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으로 은퇴후 생활비 충당에 필요한 충분한 소득을 창출하는 가계는 전체 근로소득자의 3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금융상품과 부동산 상품에 동시 투자하고 있는 경우에는 충분한 은퇴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가계가 65%에 달한 반면 부동산 및 기타에 투자한 가계는 해당 비율이 55%로 낮아졌고 금융상품에만 투자한 경우는 은퇴소득 창출 비율이 37%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조사결과 근로소득자 가계의 53%는 현재 은퇴를 위해 구체적인 준비를 하고 있지 않으며 나머지 47%만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비를 하고 있는 47%는 금융상품(29%), 금융 및 부동산투자(14%), 부동산 및 기타(5%) 등을 준비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금융상품 중에서는 연금보험이 가장 많았다.
은퇴 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73%가 ‘여윳돈이 부족해서’라고 답했고 14%는 ‘아직 이른 것 같아서’, 9%는 ‘구체적인 방법을 몰라서’라고 각각 응답했다.
주 연구원은 소득은 물론 연령과 교육수준, 소득 등이 자산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은퇴연령과 예상생활비, 투자수익률 등을 고려한 현실성 있는 은퇴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주소현 삼성금융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오는 13∼14일 열리는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에 앞서 12일 배포된 ‘근로소득자의 은퇴준비 현황과 은퇴소득 충분성’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주 연구원은 지난해 5∼7월 삼성금융연구소가 전국 7대 도시 4천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가계금융이용행태 조사결과를 토대로 은퇴전인 근로소득자들의 은퇴준비 현황 등을 분석했다.
근로소득자는 가구주를 기준으로 전문직을 제외한 관리직, 사무직, 판매직, 생산직 등을 포함했으며 총 2천147가구로 전체 조사대상의 54%를 차지했다.
조사결과 근로소득자들이 예상하는 은퇴연령은 평균 60세, 은퇴후 월평균 생활비는 현재가치로 약 197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은퇴 희망연령은 56∼60세가 45%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세 이하는 10%, 65세 이상은 9% 등이었다.
월평균 예상생활비는 151만∼200만원이 34%로 가장 많았고 이어 ▲101만∼150만원 22% ▲100만원 이하 18% ▲251만원 이상 17% ▲201만∼250만원 8% 등의 순이었다.
주 연구원은 이를 토대로 근로소득자가 예상하는 은퇴후 월평균 생활비 수준을 은퇴 시점(인플레 4%, 수익률 6%가정)으로 환산하면 평균 8억1천71만원이 필요하며 국민연금 제외시 6억7천758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했다.
그는 이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으로 은퇴후 생활비 충당에 필요한 충분한 소득을 창출하는 가계는 전체 근로소득자의 3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금융상품과 부동산 상품에 동시 투자하고 있는 경우에는 충분한 은퇴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가계가 65%에 달한 반면 부동산 및 기타에 투자한 가계는 해당 비율이 55%로 낮아졌고 금융상품에만 투자한 경우는 은퇴소득 창출 비율이 37%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조사결과 근로소득자 가계의 53%는 현재 은퇴를 위해 구체적인 준비를 하고 있지 않으며 나머지 47%만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비를 하고 있는 47%는 금융상품(29%), 금융 및 부동산투자(14%), 부동산 및 기타(5%) 등을 준비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금융상품 중에서는 연금보험이 가장 많았다.
은퇴 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73%가 ‘여윳돈이 부족해서’라고 답했고 14%는 ‘아직 이른 것 같아서’, 9%는 ‘구체적인 방법을 몰라서’라고 각각 응답했다.
주 연구원은 소득은 물론 연령과 교육수준, 소득 등이 자산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은퇴연령과 예상생활비, 투자수익률 등을 고려한 현실성 있는 은퇴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당신의 부자파트너 이 신 념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위 속의 꽃망울을 터트리는 향기를 배워라 (0) | 2007.03.08 |
---|---|
[스크랩] 거역공수거 (0) | 2007.02.18 |
돈방석는 당신의 가치 (0) | 2007.02.09 |
흐르는 강물처럼 변신하라 (0) | 2007.02.06 |
하늘에서 돈이 쏟아진다면 어떨까요? (0) | 2007.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