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자신의 연봉 1억원을 만든 법을 배워라 본문

부자

자신의 연봉 1억원을 만든 법을 배워라

신오덕 2007. 6. 15. 13:28

 

"평생 꿈의 연봉, 1억 되기 힘들다"

 
서울=뉴시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꿈꿔보는 억대 연봉. 하지만 실제 연봉 1억원이 넘는 직장인은 얼마나 될까.

잡코리아가 1일부터 14일까지 직장인 1030명을 대상으로 ‘자신의 연봉이 1억원이 될 수 있는 예상시기’에 대해 조사한 결과, 47.3%의 응답자가 ‘평생 불가능하다’고 응답했다.

즉, 직장생활을 하는 동안 자신의 몸값이 1억원 이상이 되기는 힘들다고 전망하는 직장인들이 과반수 정도나 되는 것이다.

반면, 직장경력 ‘10년~15년차 미만 정도’라고 답한 직장인은 14.1%였으며, ▲5년~8년차 미만 정도 9.0% ▲20년~25년차 미만 정도 7.1% ▲3년~5년차 미만 정도 6.0% ▲15년~20년차 미만 정도 4.6% ▲25년~30년차 미만 정도 3.5%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이직이 보편화됨에 따라 회사를 옮기면서 자신의 몸값을 높이려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지만, 정작 이직시 인상된 연봉 수준은 현재 연봉 수준이거나 현 연봉에서 소폭 인상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올 상반기 이직경험이 있는 직장인 1440명을 대상으로 ‘이직시 인상된 연봉 수준’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직 전 직장의 연봉에서 200만원 정도 올려서 이직했다’는 응답이 24.5%로 가장 많았으며, 전 직장 연봉과 비슷한 수준도 20.4%로 비교적 많았다.

다음으로 ▲전 직장 연봉 대비 500만원 이상 인상 16.3% ▲전 직장 연봉 대비 300만원 정도 인상 12.4% ▲전 직장 연봉 대비 400만원 정도 인상 11.4% ▲전 직장 연봉 대비 100만원 정도 인상 7.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에 비해 전 직장 보다 오히려 삭감되어 이직했다는 직장인도 7.6%로 집계됐다.

잡코리아 컨텐츠비즈니스팀 조용우 팀장은 "최근 취업시장이 어려워지면서 이직시 자신의 연봉수준을 큰 폭으로 인상해 제시하기보다는 현실을 반영해 소폭 인상하거나, 현재 연봉 수준을 유지하려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다"며 "실제 많은 샐러리맨들은 1억이 넘는 고액연봉은 소수 직장인들만의 이야기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본인의 연봉을 올리는 데는 현실적으로 많은 한계를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료: 김정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