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인재난
- 성공의 선택
- 부자의 땅
- 아름다운 세상
- 부자의 약속
- 신오복
- 부자
- 상선약수
- 부자의 삶
- 직업
- 신삼강오륜
- 성난 황소의 돌진
- 경제의 힘
- 돈과 여자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새로운 삶
- 부자의 길
- 온고지신
- 행복
- P세대
- 성공의 길
- 새로운 도전
- 10년 경험
- 성공의 지혜
- 부자의 세계
- 부자의 인생
- 아름다운 꽃
- 성공
- 한국인의 저력
Archives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다섯가지 미덕을 찾아라 본문
五美四惡(오미사악)
子張問於孔子曰 何如斯可以從政矣? 子曰 尊五美, 屛四惡, 斯可以從政矣. 子張曰 何謂五美?
子曰 君子惠而不費, 勞而不怨, 欲而不貪, 泰而不驕, 威而不猛.
子張曰 何謂四惡? 子曰 不敎而殺謂之虐, 不戒視成謂之暴, 慢令致期謂之賊, 猶之與人也, 出納之吝謂之有司.
해석: 자장이 공자에게 물었다. "어떻게 해야 정치에 종사할 수 있습니까?" 공자가 말했다.
"다섯 가지 미덕을 높이고 네 가지 악행을 물리치면 정치에 종사할 수 있을 것이다." 자장이 말했다.
"다섯 가지 미덕이 무엇입니까?" 공자가 말했다.
"군자는
혜이불비 = 은혜를 베풀지만 낭비하지 않으며,
노이불원 = 백성을 부리지만 원망하게 하지 않으며,
욕이불탐 = 원하지만 탐내지 않으며,
태이불교 = 장엄하지만 교만하지 않으며,
위이불맹 = 위엄이 있지만 사납지 않다.
" 자장이 물었다. "네 가지 악행이 무엇입니까?" 공자가 말했다.
"죄 지은 사람을 가르치지 않고 보자마자 죽이는 것을 잔학이라 하고,
먼저 깨우치지 않고 갑자기 성과를 바라는 것을 난폭이라 하며,
명령을 게을리하고는 기한을 재촉하는 것을 적해라 하고,
사람들에게 당연히 줘야 할 것을 가지고 인색하게 구는 것을 유사라 한다."
실전: 기업의 현실 상황에 맞게 오미사악을 적절히 수정해서 기업의 규칙과 제도의 일부로 만들고 회사 경영층을 시험하는 주요 근거로 삼아라.
출처=하루 한장 논어경영
'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일을 냉장 보관하지 말아라 (0) | 2013.12.18 |
---|---|
한국인은 행복의 만족도가 낮다 (0) | 2013.12.18 |
뱀의 공포를 확인하라 (0) | 2013.12.18 |
배려하고 이해하는 부부가 되어라 (0) | 2013.12.18 |
교통사고에서 사람을 배워라 (0) | 201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