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성공
- 부자의 인생
- 부자의 길
- 인재난
- 새로운 도전
- 부자의 세계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직업
- 부자의 삶
- 10년 경험
- 신오복
- 온고지신
- 새로운 삶
- 성공의 길
- 아름다운 세상
- 행복
- 성공의 선택
- 상선약수
- 한국인의 저력
- 경제의 힘
- 성난 황소의 돌진
- 신삼강오륜
- 부자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아름다운 꽃
- 부자의 약속
- 부자의 땅
- 돈과 여자
- 성공의 지혜
- P세대
Archives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창조경제는 지금부터 시작이다 본문
[世智園] 창조경제혁신센터와 미국 루트128 | |
기사입력 2015.08.26 17:38:31 | 최종수정 2015.08.27 09:10:39 |
그러나 창조는 대기업과 창업기업을 한곳에 모아놓는다고 이뤄지는 게 아니다. 특히 관료적인 대기업이 주도권을 잡는다면 혁신은 요원하다. 이는 미국 IT산업의 중심이 보스턴 인근 `루트128` 지역에서 실리콘밸리로 이동한 까닭만 봐도 분명히 드러난다. 지금은 몰락했으나 루트128 지역에 자리 잡았던 데이터제너럴, DEC 등의 대기업은 1970~1980년대 미국 기술산업의 상징과도 같았다. 묘하게도 이들 기업의 문화는 오늘날 한국 대기업과 비슷했다. 지위의 높고 낮음을 기준으로 위계가 엄격했다. 직원은 한 기업에 오래 머무르며 계층제 피라미드의 높은 곳으로 올라가는 게 목표였다. 생산구조도 수직으로 계열화돼 있었다. 그렇기에 하도급 기업을 부릴 뿐, 외부 기업과 파트너 관계를 맺고 지식을 공유하지 않았다. 지식은 개별 기업의 벽 안에 머물렀을 뿐, 그 기업 밖으로 나가지 않았다. 그러나 실리콘밸리는 달랐다. 이곳의 원조 격인 페어차일드반도체의 문화는 루트128과는 정반대였다. 뉴욕타임스 저널리스트인 데이비드 스트레이트필드는 "완전히 새로운 종류의 기업이었다. 철저하게 개방적이었고 엄격한 위계는 찾아볼 수 없었다"고 썼다. 실리콘밸리는 지식이 개별 기업의 벽 안에 갇히지 않았다. 창업가들이 대기업과 스타트업을 옮겨가며 지식을 융합했기 때문이다. 젊은이들은 대기업에서 일하며 떠올린 아이디어로 창업하는 것을 당연시했다. 이렇게 창업한 기업 중 성공한 기업은 높은 가격으로 대기업에 인수되거나, 스스로 다른 기업을 인수해 규모를 키웠다. 실패한 기업의 창업자는 또다시 창업하거나 다른 기업으로 흡수됐다. 이 과정에서 지식이 전파되고 융합됐다. 이것이야말로 실리콘밸리가 혁신의 허브가 된 비결이다. 과연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미래 문화는 루트128과 실리콘밸리 중 어디에 더 가까울까. 당연히 후자로 가야 한다. 전자 쪽이라면 루트128이 그랬듯이 신기루처럼 잊힐 것이다. [김인수 논설위원] |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동시장의 구조개혁은 마라톤이다 (0) | 2015.08.27 |
---|---|
갈등의 시작은 욕심에서 나온다 (0) | 2015.08.27 |
상품 약관을 정비하고 이해도를 높여라 (0) | 2015.08.27 |
한국 기업의 현주소를 알고 나아가라 (0) | 2015.08.27 |
만시지탄에서 희망으로 가라 (0) | 201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