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철과 신념

국내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본문

부자

국내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신오덕 2017. 7. 13. 08:53

[사설] 미국서 불붙은 뉴스 제값 받기, 우리도 원점서 재검토 필요하다

  • 입력 : 2017.07.13 00:01:03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등 미국 언론사 2000여 개가 구글·페이스북 등 거대 플랫폼을 상대로 공정한 수익배분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 매체는 뉴스미디어연합이라는 단체를 만들고 거대 플랫폼이 장악한 온라인 뉴스시장의 주도권을 찾아오기 위해 협상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국 언론의 이 같은 움직임은 뉴스로 발생하는 수익의 상당 부분을 콘텐츠 생산자인 언론이 아니라 거대 플랫폼이 가져가는 관행에 제동을 걸겠다는 의도다. 실제로 구글과 페이스북은 미국의 연간 온라인 광고수입 730억달러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뉴스를 제공한 언론사들의 광고 매출은 급감하고 있는 추세다. 그러다 보니 뉴스를 만들어내는 언론과 기자를 고용하지도 않고 수익을 챙기는 플랫폼과의 관계가 불균형적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내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네이버, 다음카카오 등 포털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이 뉴스로 인해 발생한 수익의 상당 부분을 가져가는 데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각 언론사가 포털에 기사를 제공하고 전재료를 받는 모델이었지만 네이버의 지난해 매출이 4조원으로 뛴 것과 비교하면 언론의 몫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나마 네이버가 지난 5일 연 200억원의 언론 지원정책을 발표한 것은 고무적이다. 사용자의 미디어 구독을 후원하는 펀드를 연간 100억원 규모로 조성하고, 뉴스 본문 내 광고 수익의 70%를 언론사와 배분하는 것이 골자다. 나머지 30%는 `서울대-언론 팩트체크 기금` 등 미디어 관련 예산으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헐값 뉴스`에 대한 언론의 불만에 선제 대응하려고 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언론들은 네이버 메인 뉴스화면이나 모바일에서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서는 배분이 이뤄지지 않아 기대에 못 미친다는 반응이다.

뉴스를 유통하는 포털의 역할은 분명 인정해야 한다. 하지만 언론의 노력이 값싸게 취급받는 현재의 생태계는 문제가 있다. 미국에서도 뉴스 제값 받기를 위해 언론이 단체행동에 나선 만큼 우리도 왜곡된 수익 분배구조를 바로잡아야 한다. 언론과 포털 간 공정한 수익 배분을 위한 재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