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P세대
- 부자의 세계
- 아름다운 꽃
- 새로운 도전
- 온고지신
- 부자의 인생
- 한국인의 저력
- 경제의 힘
- 새로운 삶
- 성공의 길
- 부자
- 상선약수
- 신삼강오륜
- 성공의 지혜
- 신오복
- 행복
- 성공
- 부자의 삶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성난 황소의 돌진
- 부자의 약속
- 부자의 땅
- 아름다운 세상
- 성공의 선택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직업
- 인재난
- 10년 경험
- 부자의 길
- 돈과 여자
Archives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부자는 어떻게 돈을 벌까? 본문
부자들은 어떻게 돈을
벌까?
월간 ’머니’지 창간기념
설문조사
서울=연합뉴스
입력 : 2005.05.25 17:18 26'
고액 자산가들은
주로 부동산 투자
를 통해 돈을 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한국경제신문의 자매지인 월간
’머니’가 창간기념으로 은행의 프라이빗
뱅킹(PB) 전담 직원 100명을 상대로
벌인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관리고객의 투자자산 구성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은?’이라는
질문에 79명이 ’부동산’을 꼽았다.
’향후 기대수익률이 가장 높은 자산은?’
이라는 질문에 85명이 역시 ’부동산’
이라고 대답, 응답자 수가 가장 많았다.
선호 부동산 유형은 토지(29명)가 1위,
아파트(19명)가 2위를 차지했다.
선호지역은 대전 충남.북 등 충청권
(26명)이 1위, 수도권(25명)이 2위
였다.
응답자들이 관리하는 고객들은
1인당 평균 7.5개의 예금통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잔액은
계좌당 평균 2억원 가량 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PB 고객이 가입한 보험상품
은 평균 3.3개였으며 매달 평균 116만원
가량을 보험금으로 납입하고 있는 것
으로 조사됐다.
| ||||
\n');
document.write(' |
100자평(14) | 블로그 엮인글(0) |
![]() |
![]() |
![]() |
![]() | |
대한민국에서 아무하는 일없이 돈버는 사람중에 김대주이 따라갈사람 있어면 나와 보라고(05/25/2005
21:44:03)
| |
부자들이 돈버는 방법은 대부분 부덕한 방법을 통해서 이다...북한처럼 사우재산 공산화라...이러면
안되겠죠...? 많이 버는건 죄가 아니지만 그일부를 다시 사회로 되돌려줄수 있는 부자는 드물다고 봅니다...(05/25/2005
19:48:51)
| |
그래서 부동산 더 올려야 하고 투자하라고? 정부는 임대 아파트 잘지어 분양하라 !!이따구 기사 또 나오기
전에 똑바로 해라. (05/25/2005 19:18:02)
| |
김영화씨! 이미 우리는 부동산 선진국이에요. 서울땅 다 팔면 프랑스 전체(남한땅의 6배)를 산답니다. 강남
웬만한 땅 한평에 1억원이 넘은지 한참 되었고, 20년 근무한 중견회사원 1년치 연봉으로 강남 고급아파트 한평도 못 삽니다. 그런데도
배고프세요? 규제풀면 30년내 수도권 인구가 4천만명(전인구의 90%)쯤 될거라는데 그래서 강남땅도 평당 10억원쯤 돼야 만족하세요?
(05/25/2005 18:56:57)
| |
괴대중슨상넘이나 괴구리나 문희상에게 물어보면 답 나온다.(05/25/2005 18:44:12)
| |
부자의 것을 뺏어서 공평(?)하게 나누어가져야 한다는 사고를 혹시 하고 있다면? 그것 탈취인데 그럴 수
있는'권리'가 어디서 주어질 수 있나? 공산 사회주의 독재적 사고인데, 사회구성원의 합의가 있다해도 남의 것을 대가를 치루지 않고 빼앗을 수
있다는 사고는 다분히 '도둑놈적 사고'일 수 있다. 부자의 '부'도 부정축재로 들어나지 않는 한 '인정'되어야 한다.(05/25/2005
18:34:07)
| |
부자가 된 사람들에게서 배워야 할 점이 매우 많다. 로또나 행운, 투기로 부자가 되는 경우도 있지만, 전체
비율은 낮다. 부자가 되는 조건은 근면과 명석한 두뇌와 냉철한 승부근성, 사교성과 친화성 등 등 많다. 부자가 되는 방법을 배울려는 마음도 없이
우연히 부자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열심히 현명하게 냉철하게 자신의 부(지력, 힘, 젊음, 자산)을 먼저 투자하여야
한다.(05/25/2005 18:25:13)
| |
부자와 빈자-태어날 때부터 정해지는 경우도 있지만, 현재 우리 사회에 중산층 이상 나이든 세대의 경우 대부분
어린 시절 모두 가난했던 과거가 있다. 부자들을 무조건 욕해서는 안된다. 자본주의 사회의 룰에 구조적인 어려운 측면이 물론 있으나, 부자를
무조건적 질시, 미워하고, 범죄시하는 시각은 '문제아'적이며 사회정신질환적이기까지 하다. 그래서는 부자가 결코 되기 어렵다.(05/25/2005
18:19:48)
| |
유대열씨 부동산이 국가발전에 엄청난 기여를 한답니다/서민의 눈물이라니요..서민 일자리를 부동산이 대부분
창출합니다/부동산개발로 선진국을 앞당겨야 합니다/지금 왠만하면 100만불짜리 아파트에 사는데..이게 부동산의 힘입니다(05/25/2005
18:10:57)
| |
졸부들, 부동산으로 돈을 벌었다면 결국 그 번 돈은 대부분 많은 서민들의 눈물의 돈을 가져간 것입니다. 이에
빈부 격차가 커지게 되는 것이지요. 정부당국은 이를 조장한 것이구요. 범죄는 아니지마는 부끄러운 재산형성임을 알아야 합니다.
(05/25/2005 18:02:44)
| |
음.. 역시 부동산... 사실 부동산 만큼 확실한게 어디있습니까?(05/25/2005 18:02:17)
| |
나라가 망하려고!(05/25/2005 17:51:43)
| |
한국인들은 부동산엔 일가견이 잇습니다/ 내주위 부자의 대부분은 부동산으로 부자되습니다./역시 정직한게
부동산이죠/그런데 주식은 왜 생겨난거에요../서민들 거지만드는게 그건데../아에 주식시장을 미국에 팔아버리던지 해야지/그동네에 얼씬거리면
거지됩디다..(05/25/2005 17:50:24)
| |
대표적인 자산가중의 하나에 조센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 조센이 보유한 30만평으로는
어림도 없다는 것인가? 부동산 뻥튀기에 의한 불로소득! 우리나라의 빈부격차는 근로소득의 격차에 의한 것이 아니다. 바로 부동산 버블에 의한
자산소득의 차이가 가장 큰 원인이라는 점이 비극이다. 수도권 집중현상을 완화하고 국가균형발전을 도모하는것 외엔 해결책이 없다(05/25/2005
17:3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