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한국인의 저력
- 부자
- 성공의 선택
- P세대
- 경제의 힘
- 부자의 길
- 신오복
- 성공의 지혜
- 부자의 약속
- 부자의 세계
- 부자의 삶
- 부자의 땅
- 성공의 길
- 온고지신
- 상선약수
- 새로운 삶
- 아름다운 세상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성난 황소의 돌진
- 인재난
- 신삼강오륜
- 부자의 인생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직업
- 새로운 도전
- 돈과 여자
- 아름다운 꽃
- 행복
- 성공
- 10년 경험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동백꽃 나라 본문
[이규태코너] 동백꽃 나라
이 동백을 서양에서는 카멜리아라
하는데 18세기에 선교사인 카메루스
가 필리핀에서 사생(寫生)하여
유럽에 소개한 꽃나무 가운데 하나
라는 전설에 의거해 식물학자 린네
가 이 선교사의 이름을 따서 지은
학명이다.
하지만 그 선교사가 유럽에 소개
했다는 1739년은 그 선교사가 죽은
지 30년 후라는 사실과 열대기후인
필리핀에 동백이 자생하지 않았다
는 동백사(冬柏史) 연구의 해럴드
흄의 이의로 필리핀 전래설은 근거
를 잃고 말았다.
대신 스코틀랜드 의사 제임스 커닝엄
이 1701년 중국 상하이 남쪽 주산열도
(舟山列島)에서 채집한 식물 표본의
동백 사생도가 영국 왕립학회지에
발표된 것이 서양에 소개된 최초의
문헌이 돼있다.
곧 서양의 동백은 18세기 초 중국
에서 건너갔고 그 중국 동백의 뿌리
가 어디냐는 데 초점을 맞춰볼 필요
가 있다.
강희안(姜希顔)의‘양화소록(養花小錄)’
에 보면 중국 문헌 ‘유서찬요(類書纂要)’
를 인용, ‘신라국에서 건너온 해홍(海紅)
곧 천산다(淺山茶)로 12월에서 2월까지
매화와 더불어 꽃이 핀다해서 일명
다매(茶梅)라고도 한다’했고 당나라
시인 ‘이태백시집주(李太白詩集注)’에는
‘해홍화는 신라국에서 들어왔으며 심히
드물다’라고 했다.
한적에서 바다 해(海)자가 붙은 식물
은 귀화식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문헌상 동백꽃의 뿌리는 한반도요
동백은 한국의 꽃이다.
기후 온난화로 남해안과 도서지방에서
만 피었던 동백꽃이 한반도 남반부
전역을 비롯, 수도 서울에까지 피게
됐다는 보도는 우리나라가 동백꽃의
고국이란 방증이 되어 새삼스럽다.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하나라는 이유는 (0) | 2005.05.30 |
---|---|
무협지의 매력 (0) | 2005.05.30 |
찻잎 점 (0) | 2005.05.27 |
부자는 어떻게 돈을 벌까? (0) | 2005.05.25 |
이 시대 가치는 자유의 확산과 성숙 (0) | 2005.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