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직업
- 경제의 힘
- 신오복
- 돈과 여자
- 신삼강오륜
- 성공
- 지도자의 3가지 조건
- 부자의 길
- 부자의 땅
- 성공의 길
- 성공의 선택
- 온고지신
- 성공의 지혜
- 부자의 인생
- 우리 몸의 세가지 보물
- 부자의 삶
- 행복
- 10년 경험
- 새로운 도전
- P세대
- 아름다운 꽃
- 한국인의 저력
- 인재난
- 아름다운 세상
- 부자의 세계
- 새로운 삶
- 부자의 약속
- 부자
- 상선약수
- 성난 황소의 돌진
- Today
- Total
시철과 신념
맞대응 전략 본문
[만물상] 맞대응(tit for tat) 전략
![](http://image.chosun.com/common/200410/sys/ico_blog.gif)
|
▶‘죄수의 딜레마’는 현실세계에서
항상 들어맞는 것은 아니다.
미국에서 체포된 마약범은 좀처럼
공범을 불지 않는데, 만일 동료를
배신한 대가로 석방되면 조직이
반드시 응징을 하기 때문이다.
죄수의 딜레마는 ‘협력이냐 배신이냐’
는 한 번의 선택과 결과로 끝나는
반면, 현실은 협력과 배신, 그에 따른
응징과 용서의 사이클이 반복되기
때문이다.
▶1980년대 초 미국에서 ‘죄수의
딜레마 상황이 반복될 때 최선의 전략
은 무엇이냐’는 모의 실험이 벌어졌다.
무조건 협력, 무조건 배신, 상황별
협력 또는 배신 등 모든 전략들을
대형 컴퓨터에 입력해 분석했다.
결과는 상대방이 행동한 대로 되돌려
주는 맞대응(tit for tat) 전략이 최선
이라는 것이었다.
맞대응 전략은 ‘첫째, 일단 협력한다.
둘째, 상대방이 배신하면 응징한다.
셋째, 상대방이 다시 협력하면 용서
하고 협력 전략으로 복귀한다’는
세 가지 행동원리를 따른다.
▶조기숙 청와대 홍보수석은 노무현
대통령의 외교정책을 맞대응 전략
이라고 설명했다.
노 대통령이 “일본 과거사를 거론
않겠다”고 한 것은 협력전략이었는데,
일본이 독도도발을 하는 배신을 했기
때문에 응징에 나섰다는 것이다.
“노 대통령은 두 번 배신까지는 용서
하고 세 번째는 앙갚음하는
tit for 3 tats 변형 전략을 쓴다”
고도 했다.
▶맞대응 전략은 산유국 간의 가격
담합과 같은 아주 단순한 상황을 설명
할 때 이용된다.
‘협력이냐 배신이냐’는 두 가지 선택
밖에 없는 이론틀을 복잡한 국가
관계 전반에 적용하기는 힘들다.
“대한민국 외교 정책은 배신하면
응징하는 것”이라는 홍보수석의
명쾌한 설명은 그래서 놀랍다.
입장을 바꿔 미국과 일본이 “한국이
세 번 배신하면 응징하겠다”고
나서면 어떻게 대응하겠다는 것일까.
'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동유럽 사진여행기-1 (0) | 2005.06.02 |
---|---|
[스크랩] 「좋은생각 메일진 제734호 - 주도적인 삶」 (0) | 2005.06.01 |
대학생 공부시간 (0) | 2005.05.31 |
[스크랩] 하나라는 이유는 (0) | 2005.05.30 |
무협지의 매력 (0) | 2005.05.30 |